피재자 측이 근로복지공단에 산재보상청구를 하는 것이 원칙이나, 사업주가 먼저 보상을 해주고 피재자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아 근로복지공단에 청구하기 위한 조건, 신청절차, 방법, 입증자료, 관련서식 등
사업주의 대체지급청구권 안내
1. 보험급여 수급권의 보호
2. 보험급여 청구와 지급
3. 보험급여 수급권의 소멸시효
4. 사업주의 수급권대위 청구
5. 수급권대위 청구의 요건
6. 대위청구 및 지급
7. 관련서식 등
3
보험급여 수급권의 소멸시효
♣ 소멸시효란?
⚫ 산재보험법에 따른 보험급여를 받을 권리는 3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시효로 말미암아 소멸한다.
⚫ 소멸시효란 법률관계의 법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입된 제도로서, 권리자가 일정기간 권리를 행사하지 않을 경우 그 권리를 상실케 하는 제도를 말한다.
⚫ 소멸시효는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때로부터 진행하므로 보험급여를 받을 권리의 소멸시효 기산점은 그 권리가 발생하여 행사할 수 있는 때로 보아야 한다.
♣ 보험급여의 소멸시효 기산점
⚫ 요양급여청구권은 요양에 필요한 비용이 구체적으로 확정된 날의 다음날, 즉 요양을 받은 날의 다음날부터 날마다 진행되므로, 요양급여를 신청한 날로부터 역산하여 3년이 넘는 부분에 대한 요양급여청구권은 소멸시효가 완성되었으나, 3년 이내의 부분 및 장래 발생할 부분의 청구권은 요양급여신청으로 인하여 시효의 진행이 중단된다.
⚫ 휴업급여는 요양을 하느라고 휴업한 날의 다음날, 즉, 급여대상에 해당된 날 다음 날부터 매일 진행한다.
⚫ 장해급여청구권은 상병이 치유된 날에 발생하므로 치유된 날의 다음날이, 상병보상연금은 요양개시 후 2년이 경과되어 상병보상연금 대상이 되어 지급기로 한 경우의 지급일의 다음 날이 기산일이 된다.
⚫ 간병급여는 실제 간병이 행하여진 날에 대하여 월 단위로 지급하므로 실제 간병을 행한 날의 다음날이 소멸시효 기산일이 된다.
⚫ 유족급여는 근로자가 사망한 날의 다음 날이, 사망의 추정에 의한 경우에는 행방불명된 날로부터 3월이 경과한 날의 다음날이 소멸시효 기산일이 된다.
⚫ 장의비는 장제를 실행한 다음 날이 소멸시효 기산일이 된다.
♣ 보험급여 소멸시효 중단
수차 도급사업의 산재보험가입 기준 및 방법 건설공사 등과 같은 수차의 도급에 의해 운영되는 사업의 산재보험가입의무자, 가입기준, 가입방법 및 절차, 관련서식 등 사업주를 위한 메뉴열
건설업의 산재보험 가입절차 및 방법
수차의 도급사의 산재보험가..
산재보험 가입자 및 보험관계 산재 보험가입자 및 보험관계(보험관계의 성립과 소멸)
Ⅰ. 서설
1. 산재법의 목적
2. 보험관계와 보험가입자
산재보험법상 보험관계는 보험관장자는 정부(노동부장관이 근로복지공단 위탁관리), 보험가입자인..
사업주 시설물 결함 및 관리하자로 인한 사고의 산재보상기준 사업주가 관리하고 있는 기숙사, 숙소, 차량 등의 시설물 결함이나 관리하자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여 소속 근로자가 부상 등의 재해를 당한 경우 산재보상이 될 수 있는 기준, 신청방법, 입증자료, 처리절차, 관련..
산재보험관계의 변경, 소멸신고 관리방법 산재보험 가입이후 소재지, 연락처, 대표지, 사업종류 등의 변경과 사업폐지, 기한완성 등으로 소멸되는 경우 신고하는 방법 및 절차 등 사업주 메뉴열
1. 산재보험제도의 의의
2. 산재보험제도의 기능
3. 산재보..
(산재보험)의 적용대상 산업재해보상보험(산재보험)의 적용 대상
그리고 적용제외 사업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산업재해보상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적용제외 사업에 해당하는 사업의 사업주가 업무수행시 재..
산재보상 이의신청 심사청구 절차 및 방법 피재근로자 및 유족의 근로복지공단에 대한 산재보상청구에 대하여 부지급, 불승인처문을 받은 경우 산재보험심사위원회에 이의신청 젓단계인 심사청구를 하는 방법, 기준, 절차, 관련서식 등에 관한 메뉴열
심사·..
산재 법상 보험급여의 종류 산업재해보상법상 보험급여의 종류에 대한 연구
1. 들어가며
보험급여라 함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적용을 받는 사업장에 소속된 근로자가 업무상 재해를 당한 경우 피재근로자나 그 유족에게 지급되는 일체의 ..
산재 법상 보험급여와 근기법상 재해보상 조정의 문제11 근기법상 재해보상 청구권과 산재법상 보험급여 청구권의 조정 문제
1. 들어가며
근로자가 업무상 재해를 입은 경우 피재근로자는 근기법상의 재해보상 청구권과 산재보험법상의 보험급여 청구권이 동시에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