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출혈 뇌경색, 심근경색 해리성대동맥류 등 뇌혈관질환 심장질환의 발증 또는 그로 인한 사망의 경우 산재처리 인정기준과 신청방법, 입증자료, 처리절차, 관련서식 등을 하나의 화일로 정리하여 누구라도 쉽게 신청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과로 스트레스로 인한 질병의 산재처리 신청방법
1. 업무와 질병과의 관계
2. 업무상 질병의 구분 및 판단
3. 업무상 질병의 법제형태
4. 과로·스트레스와 뇌혈관·심장질환
5. 뇌혈관·심장질환의 업무상 질병인정기준
6. 뇌혈관·심장질환 외 질병의 업무상 인정사례
7. 산재신청 및 처리절차
♣ 업무상 재해란?
업무상 재해는 ‘업무상 사유’에 의한 근로자의 신체상의 손해로서, 그 재해의 객체는 종속적 근로관계에 있는 “근로자”이어야 하며, 재해의 원인은 “업무와 관련성”이 있어야 하며, 손해의 범위는 부상·질병·장해·사망의 “인적 손해”이어여 함
보험관계에서 보험금의 지급사유가 되는 보험사고와 동일한 기능을 하며 산재보험급여의 지급사유, 즉 근로복지공단이 보험급여의 지급책임을 지느냐 여부의 결정기준이 됨
♣ 인체의 과중부담 요인
• 피로(疲勞,fatigue) : 연속 또는 반복되는 정신적 육체적 작업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심신기능의 저하를 말하며, 주관적으로는 육체적 또는 정신적 탈진감을 , 객관적으로는 능률의 저하를 의미
• 과로(過勞,overwork) : 피로가 누적해서 생기는 생리적 상태로서 축적성 피로, 만성 피로라고도 하며, 상당기간 동안 회복되지 않은 피로가 누적되어 심신기능이 저하된 경우를 말한다.
• 직업성 스트레스(stress) : ‘업무의 요구량과 개인의 업무수행능력과의 사이에 업무수행에 중대한 차질을 초래할 정도로 불균형이 있다는 것을 느끼는 것’으로 정의 됨
♣ 뇌혈관 심장질환의 업무상 인정유형
• 근로자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원인으로 인하여 뇌실질내출혈, 지주막하출혈, 뇌경색, 심근경색증, 해리성 대동맥류가 발병된 경우에는 업무상 질병으로 본다.
① 돌발상황 : 업무와 관련한 돌발적이고 예측 곤란한 정도의 긴장, 흥분, 공포, 놀람 등
② 급격한 환경변화 : 급격한 업무 환경의 변화로 뚜렷한 생리적인 변화를 초래한 경우
③ 단기간 과중부하 : 업무의 양, 시간, 강도, 책임 및 업무환경의 변화 등으로 발병 전 단기간 동안 업무상 부담이 증가하여 뇌혈관 또는 심장질환의 정상적인 기능에 뚜렷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육체적⋅정신적 과로를 유발한 경우
④ 만성적 과중부하 : 업무의 양⋅시간⋅강도⋅책임 및 업무 환경의 변화 등에 따른 만성적인 과중한 업무로 뇌혈관 또는 심장 혈관의 정상적인 기능에 뚜렷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육체적․정신적인 부담을 만성적으로 유발한 경우
• 다만, 그 질병이 자연발생적으로 악화되어 발병한 경우에는 업무상 질병으로 보지 않
과로사와 산재보상 뇌혈관질환과 심장질환을 중심으로 한 과로사와 산재보상에 대한 연구
Ⅰ. 들어가며
과로사란 과로나 스트레스로 인하여 질병이 발생하거나 질병으로 인한 사망을 말한다. 이는 의학용어나 법률용어는 아니고, 주..
업무수행중 사고의 산재신청방법 및 절차 사업장에서 업무수행중 사고를 당한 경우 산재인정기준. 산재신청방법과 처리절차, 관련서식 등을 일괄정리
업무수행 중 사고기준 및 신청방법
1. 업무수행 중 재해의 개요
2. 근로계약에 따른 업무수행 행위 중 ..
과로 성질환의 업무상 재해 인정 여부 과로성 질환의 업무상 재해 인정여부
1. 들어가며
::: 과로성 질환 또는 과로사라 함은 과중한 업무가 유인이 되어 기초질환을 악화시키거나 뇌·심혈관질환 등을 유발하는 경우 등을 말하는 것으로서 업종에 구..
과로사에 영향을 미치는 업무상 유해 요인 과로와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업무상 유해요인 연구
1. 들어가며
과로란 과중한 부하라는 광범위한 용어로 피로에서 회복하지 못하고 피로상태가 축적되거나 정신적인 과중 부하 및 스트레스를 포함하는 포..
간질환의 업무상 질병 여부 업무상 질병과 간질환의 포함 문제
1. 들어가며
이렇게 간질환의 업무상 질병 여부가 문제가 되는 것은 간질환이 아주 흔한 질병이고 간에 해로운 술 마시는 것이 우리 사회에 아주 일상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
근골격계질환의 산재보상 인정기준 및 신청방법 사업장에서 반복작업, 불안정한 자세, 중량물 운반 등으로 인한 누적긴장성 요통, 팔, 다리, 어깨, 목 등에 통증 등을 근골격계질환이라 하며 직업병으로서 산재보상대상이 된다. 이에 대한 인정기준과 신청방법, ..
근로자가 제3자의 가해로 사고를 당한 경우 산재보상기준 및 신청방법 근로자가 업무와 관련하여 동료근로자나 사업주가 아닌 제3자의 과실이나 고의로 부상 또는 사망 등의 재해를 당한경우 산재보상인정기준, 처리절차, 구상권행사대상 판단기준, 구상절차, 합의시 유의사항, 관련서..
출퇴근중 사고의 산재보상 인정기준 및 산재신청방법 출퇴근중에 사고는 산재보상이 안되는 것이 원칙이나, 인정될 수 있는 기준, 신청방법, 처리절차, 입증자료, 신청서식 등에 관한 업무메뉴얼
출퇴근중 재해의 산재인정기준 및 절차
1. 출·퇴근 중 사고의 업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