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기본권은 헌법과 법률 이전에 노동자에게 보장된 보편적 권리이며 인권이다. 노동3권과 관련한 헌법 제33조 제1항의 규정은 국가가 노동자의 노동3권을 보장할 의무가 있음을 밝히는 것이지, 헌법의 규정에 의해 비로소 노동자에게 노동3권이 부여되는 것은 아니다. 헌법 제33조 제1항의 규정이 없더라도 노동기본권은 당연히 보장되어야 한다. 실제로 선진국들 중에서는 헌법에 따로 노동3권을 보장하는 명문 규정을 두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은 노동기본권이 지극히 당연한 자연법적․천부적․태생적 권리이기 때문이다. 헌법 제32조의 규정이 없더라도 인간은 누구나 살기 위해 일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 것과 같다.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을 비롯한 노동관계법들은 헌법이 규정한 노동3권이 실현될 수 있게끔 하는 데 필요한 법․제도적 장치를 마련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노동법이 비로소 노동자에게 노동3권을 부여하는 근거가 되는 것인 양 해석되는 것은 옳지 않다. 노동법이라고 하는 것은 노동자가 노동3권을 행사하고 이를 실현하는 데 필요한 제도적 절차에 다름 아니다.
다만 헌법에 노동기본권을 규정하고 있다는 것은 첫째, 노동자의 노동3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국가의 의무라는 것이다. 둘째, 사회 각 계급이 각각 다른 입장과 세계관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노동법의 내용을 주장하거나 해석을 달리할 때 그 기준을 헌법에 규정하였으니 판단의 근거로 삼으라는 것이다. 셋째, 국민들은 모두 노동자의 노동3권을 당연한 권리로 존중해야 한다는 뜻이다.
2. 노동권
헌법 제32조 제1항은 모든 국민은 근로의 권리를 가진다 고 규정하고 있다. 이 조항에 담겨져 있는 권리를 흔히 근로권 이라고 한다. 너무 당연한 말이지만 이 말을 조금 쉽게 풀어쓴다면 일하고 싶은 사람은 일할 수 있다. 정도가 될 것이다.
....
외국의 공무원 노동기본권입법례 외국의 공무원 노동기본권 입법례 연구
1. 일 본
1) 일본 헌법은 근로자의 단결할 권리와 단체교섭 기타 단체행동을 할 권리는 이를 보장한다 (제28조)고 규정하고 공무원에 대한 특별한 헌법유보조항은 없다. ..
법률과 노동기본권 법률과 노동기본권
1. 헌법과 노동기본권
노동기본권은 헌법과 법률 이전에 노동자에게 보장된 보편적 권리이며 인권이다. 노동3권과 관련한 헌법 제33조 제1항의 규정은 국가가 노동자의 노동3권을 보장할 의무..
헌법과 노동법 헌법과 노동법
1. 노동기본권
노동기본권은 헌법과 법률 이전에 노동자에게 보장된 보편적 권리이며 인권이다. 노동3권과 관련한 헌법 §제33 ①1)1) 헌법 §33 ① 근로자는 근로조건의 향상을 위하여 자주적인 단결..
건설 일용근로자의 노동기본권 보장을 위한 과제 건설일용근로자의 노동기본권 보장에 대한 연구
1. 건설일용노동자의 고용형태
(1) 다단계 하도급과 단기고용
건설일용노동자의 고용형태는 건설산업의 고질적인 다단계 하도급 구조와 일용직이라는 단기고용으..
공기업의노동관계,공기업노동기본권보장,공기업단결권,단체교섭권,단체행동권 공기업론
공기업의 노동관계
CONTENTS LIST
CONTENTS LIST
상철
식도
검색
공기업의 노동관계
2
공기업의 노동관계
공기
업론
검색
제 1절 공기업 노동기본권 보장의 논리
공기업 노동기본권 보장의 논리
1
검색
1..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성립요건에 대한 연구 노동조합의 성립요건에 대하여
Ⅰ. 들어가며
헌법 제33조 제1항에서는 근로자의 근로조건향상을 위하여 자주적인 단결권, 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을 보장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에 비하여 경제적․사회적으로 상..
노동조합의 설립의 실질적 요건과 형식적 요건 노동조합의 설립 요건 전반에 대한 노조법상 연구
Ⅰ. 들어가며
1. 노동조합의 의의
헌법 제33조제1항은 근로3권을 보장하고 있으며, 이의 구체적인 실현을 위한 근로자들의 자주적인 단결체가 노동조합이다. 우..
노동3권의 정의 및 발전과정 목 차
Ⅰ. 노동3권 쟁위과정과 노동운동의 의미
- 노동3권의 정의 및 노동운동의 목적 3유형
Ⅱ. 역사
- 노동운동의 최초역사 및 발전과정
Ⅲ. 한국의 역사
- 한국의 노동3권 역사 및 발전과정과 위치
Ⅰ. ..
프랑스 공무원의 노동기본권입법례 프랑스 공무원의 노동기본권 입법례
1. 법적 근거
프랑스에서 공무원의 단결권은 헌법과 법률에 의해 인정되고 있다. 우선 헌법(현행 헌법에 의해 그 효력이 인정되고 있는 1946년 제4공화국 헌법)은 누구든지 ..
부당노동행위 부당노동행위
Ⅰ. 부당노동행위란 무엇인가
1. 의의
부당노동행위구제 제도는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기본권인 노동3권에 대한 사용자1)1) 부당노동행위를 해서는 안 되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부당노동행위 구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