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기본권은 헌법과 법률 이전에 노동자에게 보장된 보편적 권리이며 인권이다. 노동3권과 관련한 헌법 §제33 ①1)1) 헌법 §33 ① 근로자는 근로조건의 향상을 위하여 자주적인 단결권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을 가진다.
의 규정은 국가가 노동자의 노동3권을 보장할 의무가 있음을 밝히는 것이지, 헌법의 규정에 의해 비로소 노동자에게 노동3권이 부여되는 것은 아니다. 즉 그 규정이 없더라도 노동기본권은 당연히 보장되어야 한다. 헌법 §322)2) 헌법 §32 ① 모든 국민은 근로의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사회적경제적 방법으로 근로자의 고용의 증진과 적정임금의 보장에 노력하여야 하며,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최저임금제를 시행하여야 한다.
의 규정이 없더라도 인간은 누구나 살기 위해 일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 것과 같다. 지극히 당연한 자연법적천부적(天賦的)태생적(胎生的) 권리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몇몇 나라에서는 헌법에 따로 노동3권을 보장하는 명문 규정을 두지 않는 경우도 있다.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을 비롯한 노동관계법들은 헌법이 규정한 노동3권이 실현될 수 있게끔 하는 데 필요한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위 노동관계법이 노동자에게 노동3권을 부여하는 근거가 되는 것처럼 해석해서는 안 되는데, 그것은 노동자가 노동3권을 행사하고 이를 실현하는 데 필요한 제도적 장치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다만 헌법에 노동기본권을 규정한 것은 첫째, 노동자의 노동3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국가의 의무라는 것, 둘째, 사회 각 계급이 각각 다른 위치와 태도, 세계관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노동법의 내용을 주장하거나 해석을 달리할 때 그 기준을 헌법에 규정하였으니 판단의 근거로 삼으라는 것, 셋째, 국민들은 모두 노동자의 노동3권을 당연한 권리로 존중해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자 함이다.
2. 노동권
....
헌법의 권리 범주에서의 노동법의 위치연구 헌법과 노동법의 관계에 대한 검토
1. 들어가며
우리나라의 노동법의 특징은 노동법의 기본원칙 내지 권리를 국가의 최고규범인 헌법 에서 명확하게 선언·보장하고 있다는데 있다.
해방 이후 오늘날까지의 법적 ..
헌법과 노동기본권 연구 헌법과 노동기본권 연구
1. 노동기본권
노동기본권은 헌법과 법률 이전에 노동자에게 보장된 보편적 권리이며 인권이다. 노동3권과 관련한 헌법 제33조 제1항의 규정은 국가가 노동자의 노동3권을 보장할 의무가..
법률과 노동기본권 법률과 노동기본권
1. 헌법과 노동기본권
노동기본권은 헌법과 법률 이전에 노동자에게 보장된 보편적 권리이며 인권이다. 노동3권과 관련한 헌법 제33조 제1항의 규정은 국가가 노동자의 노동3권을 보장할 의무..
프랑스의 노동법의 현황과 전망 프랑스의 노동법의 현황과 전망
1. 단결권
프랑스에서는 단결권이 헌법과 법률 모두에 의해 인정되고 있다. 1946년 제정된 제4공화국 헌법 전문은 “누구든지 노동조합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권리와 이익을 옹호할..
이승만 정권과 노동법 이승만 정권과 노동법
1. 연혁
- 1947년 헌법 제18조에 노동3권, 근로자의 이익균점권 규정
- 1953년 노동법 제정 : 노동조합법, 노동쟁의조정법, 노동위원회법, 근로기준법을 전시 하 피난 국회에서 제정, 맥..
2000년 이전 우리나라 노동법 발전 연혁 2000년 이전 우리나라 노동법 발전 연혁
1. 이승만 정권
- 1947년 헌법 제18조에 노동3권, 근로자의 이익균점권 규정
- 1953년 노동법 제정 : 노동조합법, 노동쟁의조정법, 노동위원회법, 근로기준법을 전시 하..
노동법의 법원에 대한 연구 노동법의 법원 연구
Ⅰ. 의의 및 논점
1. 의의
노동법의 법원은 노동법이 존재하는 형식을 의미한다. 법원을 법관의 재판의 규준으로 이해하는 견해는 主觀的 規範性을 갖는 근로계약이나 사용자의 지시도 법원으..
노동법의 법원 및 법원 적용의 원칙 노동법의 법원 및 법원 적용의 원칙
Ⅰ. 서
1. 의의
일반적으로 법원이란 법의 존재형식을 말한다. 따라서 노동법의 법원이라 함은 노동법의 존재형식을 말한다.
2. 학설
무엇이 노동법의 내용을 결정하는 근거..
노동법의 법원과 적용순서 및 유리한 조건 우선의 원칙1 노동법의 법원과 적용순서
Ⅰ. 서
기본적으로 법원이란 법의 존재형식을 의미한다. 그 중 노동법의 법원의 문제는 재판규범으로서 법의 존재형식 즉, 노동관계법상 분쟁해결위해 법관이 기준으로 삼아야할 재판규..
노동법의 법원 노동법의 법원
Ⅰ. 서
1, 법원의 의의
일반적으로 법원이라 함은 재판규범으로서 법의 존재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법원은 법적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법관이 기준으로 삼아야 할 규범의 존재형식이다.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