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의
노동법의 법원은 노동법이 존재하는 형식을 의미한다. 법원을 법관의 재판의 규준으로 이해하는 견해는 主觀的 規範性을 갖는 근로계약이나 사용자의 지시도 법원으로 보지만, 通說은 客觀的 規範性을 요구하므로 근로계약이나 사용자의 지시는 법원으로 보지 않는다.
2. 논점
노동법의 법원은 성문법이 가장 중요한 의의를 가지지만, 유동적이고 개별적이며 복잡한 노사관계에 고정적이고 획일적인 성문법의 규정만으로는 이를 처리할 수 없고, 노사관행이나 노동자치법 등으로 이를 보완하게 되었다.
II. 노동법의 법원의 종류
1. 성문노동법
1) 헌법
헌법32, 33에서 노동법의 기본원칙을 두고 있으며 노동법의 입법과 해석의 지침이 된다.
2) 노동관련법률
근기법, 노조법, 근참법, 고보법 등 법률이 근로자의 생존권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정되었다.
2. 노동관습법
노동관습법은 관습의 형식으로 존재하는 종속노동관계에 관한 법규를 말한다. 노동관습법은 성문법을 보충하고 제·개정의 길잡이가 된다.
사실인 관습과 관습법을 구별하는 견해도 있으나 유동적인 성격을 가진 노동법의 경우, 사회 전반적인 법적확신에 이르지 않을지라도 일정한 구속력을 가진 경우 법원으로 인정하는 것일 타당하다.
判例는 사실인 관습의 구속력을 인정받으려면 기업 내에서 사실상의 제도로서 확립되어 있어야 한다고 한다.
3. 노동자치법
1) 단체협약
....
노동법의 법원 1 노동법의 법원(法源)
법원(법의 연원(淵源))이란 일반적으로 법적 분쟁에 관한 법관이 재판을 할 때 기준으로 삼는 규범의 존재형식을 말하고, 노동법의 법원이라고 하면 노동법과 관련한 법적 분쟁에 관하여 법..
노동법의 이념에 대한 소고 노동법의 이념에 대한 심층 연구
Ⅰ. 문제의 제기
노동법 이란 자본주의 사회에서 근로자의 인간다운 생활 의 실현을 기본이념으로 하면서, 이것을 실현할 수 있도록 근로관계, 즉 근로자의 노동력 제공에 관련..
노동법의 법원 및 법원 적용의 원칙 노동법의 법원 및 법원 적용의 원칙
Ⅰ. 서
1. 의의
일반적으로 법원이란 법의 존재형식을 말한다. 따라서 노동법의 법원이라 함은 노동법의 존재형식을 말한다.
2. 학설
무엇이 노동법의 내용을 결정하는 근거..
노동법의 법원 노동법의 법원
Ⅰ. 서
1, 법원의 의의
일반적으로 법원이라 함은 재판규범으로서 법의 존재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법원은 법적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법관이 기준으로 삼아야 할 규범의 존재형식이다.
2. ..
헌법의 권리 범주에서의 노동법의 위치연구 헌법과 노동법의 관계에 대한 검토
1. 들어가며
우리나라의 노동법의 특징은 노동법의 기본원칙 내지 권리를 국가의 최고규범인 헌법 에서 명확하게 선언·보장하고 있다는데 있다.
해방 이후 오늘날까지의 법적 ..
노동법의 법원과 적용순서 및 유리한 조건 우선의 원칙1 노동법의 법원과 적용순서
Ⅰ. 서
기본적으로 법원이란 법의 존재형식을 의미한다. 그 중 노동법의 법원의 문제는 재판규범으로서 법의 존재형식 즉, 노동관계법상 분쟁해결위해 법관이 기준으로 삼아야할 재판규..
노동법상 유리한 조건 우선의 원칙 유리한 조건 우선의 원칙에 대한 노동법상 검토
Ⅰ. 들어가며
1. 법원의 의의
무엇이 노동법의 법원인가에 대하여 ⅰ)주관적 규범성과 특수성을 그 요소로 보아 주관적 법을 법원으로 보는 견해가 있으나, ⅱ)객관..
유리 조건 우선의 원칙 노동법에서의 유리조건 우선의 원칙
Ⅰ. 들어가며
1. 법원의 의의
무엇이 노동법의 법원인가에 대하여 ⅰ)주관적 규범성과 특수성을 그 요소로 보아 주관적 법을 법원으로 보는 견해가 있으나, ⅱ)객관적 규범성..
행정법의 법원리로써 조리 연구1 행정법의 법원리로써 조리
I. 들어가며
1. 조리의 개념과 기능
조리란 사물의 본질적 법칙, 일반사회의 정의감에 비추어 반드시 그러해야 할 것이라고 인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리는 법해석의 기본원리..
노동법의 탄생 노동법의 탄생 과정에 대한 소고
1. 근대시민법 질서와 그 한계
가. 근대시민법질서는 봉건제사회하에서의 예속과 차별에 대한 부정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그러므로 근대시민법질서의 전제는 바로 자유와 평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