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일용노동자의 고용형태는 건설산업의 고질적인 다단계 하도급 구조와 일용직이라는 단기고용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그리고 이 두가지 문제는 극히 열악한 건설노동자들의 근로조건 및 건설산업 노사관계를 악화시키는 주요인이기도 하다. 즉, 일용직이라는 임시직 고용과 다단계 하도급 구조에 의한 간접고용적 측면이 중첩되어 비정규직 노동자 중에서도 건설노동자의 처지를 더욱 열악하게 만드는 것이다.
건설산업의 하도급 구조는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하여 발주처-원청(일반건설업체)-하청(전문건설업체)-시공참여자까지로 제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시공참여자 단계에서 불법적인 하청이나 재하청이 이루어짐으로써 실제로는 법적 기준을 훨씬 초과하는 불법 다단계 하도급이 70%가량을 차지할 정도로 만연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1).
이러한 다단계 하도급 관행은 우리나라만의 특수한 것으로서 다른 선진국의 경우에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독일의 경우에는 우리의 건설산업기본법에 해당하는 하도급 규제법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건설현장의 하도급이 발주처-원수급인(일반)-하수급인(건설) 단계로 끝나는 것이 관행화 되어있다고 한다.
또한 우리의 일반건설업체 및 전문건설업체에 해당하는 직접시공사에서 대부분의 노동자를 정규직으로 직접고용하고 있으며, 비수기의 노동비용에 대해서는 노사정이 분담하는 휴업수당제도 등으로 해결하는 안정적인 고용구조를 가지고 있다2).
반면에 우리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건설노동자들이 공사기간 내에서도 고용관계가 지속되지 않는 일용직으로서 극히 불안정한 단기고용상태에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중층성으로 인하여 체불임금, 부당해고, 산재 등에 대하여 노동법상의 기본적인 보호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사례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
건설일용노동자의 노동기본권 현황 건설일용노동자의 노동기본권 현황
1. 노동조합 조직형태
건설일용노동자의 경우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이런 형태의 고용구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중층화 되어있고, 공사현장에 따라 수시로 사용자를 교체하..
건설일용노동조합과 원청업체와의 단체교섭에 대한 판례 검토 건설일용노동조합과 원청업체와의 단체교섭에 대한 판례 검토
1. 관련 주요 판례
(가) 대전지방법원 2004.9.15 선고, 2004노583 판결
대전지방법원은 지역건설노동조합 간부들에 대한 공갈죄 적용 여부에 관한 ..
건설일용노동자의 고용형태 검토 건설일용노동자의 고용형태 검토
1. 다단계 하도급과 단기고용
건설일용노동자의 고용형태는 건설산업의 고질적인 다단계 하도급 구조와 일용직이라는 단기고용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그리고 이 두가지 문제는 ..
건설업에서의 도급사업관련 특별 규정 검토 건설업에서의 도급사업관련 특별 규정 검토
Ⅰ. 건설업에서의 임금지급 연대책임
1. 의의
최근 건설산업기본법을 위반한 불법하도급으로 건설일용근로자에 대한 임금체불이 많이 일어나고 있다. 이에 건설하도급 ..
건설일용근로자 표준근로계약서 안녕하세요? 건설일용직 근로자에 대한 표준근로계약서입니다.
업무에 참조하세요. 감사합니다!
1. 근로계약기간
2. 근무장소
3. 업무의 내용(직종)
4. 근로시간
5. 근무일/휴일
6. 임금
7. 기 타
공기업의노동관계,공기업노동기본권보장,공기업단결권,단체교섭권,단체행동권 공기업론
공기업의 노동관계
CONTENTS LIST
CONTENTS LIST
상철
식도
검색
공기업의 노동관계
2
공기업의 노동관계
공기
업론
검색
제 1절 공기업 노동기본권 보장의 논리
공기업 노동기본권 보장의 논리
1
검색
1..
법률과 노동기본권 법률과 노동기본권
1. 헌법과 노동기본권
노동기본권은 헌법과 법률 이전에 노동자에게 보장된 보편적 권리이며 인권이다. 노동3권과 관련한 헌법 제33조 제1항의 규정은 국가가 노동자의 노동3권을 보장할 의무..
헌법과 노동기본권 연구 헌법과 노동기본권 연구
1. 노동기본권
노동기본권은 헌법과 법률 이전에 노동자에게 보장된 보편적 권리이며 인권이다. 노동3권과 관련한 헌법 제33조 제1항의 규정은 국가가 노동자의 노동3권을 보장할 의무가..
교원의 근로기본권 보장 방안 교원의 근로기본권 보장 방안
강 인 수
(수원대 교육대학원장,교육학박사)
I. 당면 과제와 쟁점
II. 교원과 일반근로자의 직무의 성격
1. 교육행위의 본질과 교원의 직무
2. 전문직 근로자로서의 교원의 특..
헌법의 권리 범주에서의 노동법의 위치연구 헌법과 노동법의 관계에 대한 검토
1. 들어가며
우리나라의 노동법의 특징은 노동법의 기본원칙 내지 권리를 국가의 최고규범인 헌법 에서 명확하게 선언·보장하고 있다는데 있다.
해방 이후 오늘날까지의 법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