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임산부근로자의 개념 및 보호의 필요성
임산부근로자란 임신중이거나 산후1년 미만의 여성근로자를 말한다. 여성근로자는 여성의 신체적․생리적인 특성과 모성의 보호라는 점에서 남성근로자와 구별되고, 또한 남성근로자와의 평등대우라는 측면에서 법적 보호를 필요로 하고 있다.
2. 입법체계
헌법에서는 여성근로자의 특별보호와 모성보호를 규정하고 있다. 이에 근기법 기타 노동관계법에서는 여성근로자의 보호규정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특히 모성보호를 위하여 임산부를 위한 제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Ⅱ. 근로시간의 보호
1. 시간외근로의 제한
임신중인 여성근로자에 대하여는 시간외근로를 시키지 못하며, 산후1년 미만인 자에 대하여는 단체협약이 있는 경우라도 1일 2시간, 1주 6시간, 1년 150시간을 초과하여 근로시킬 수 없다.
2. 야간․휴일근로의 제한
사용자는 임산부근로자에 대하여 야간․휴일근로를 시키지 못한다. 다만, 산후1년 미만자는 본인의 동의와 노동부장관의 인가를 얻은 경우, 임신중인 여성근로자는 명시적인 청구와 노동부장관의 인가를 얻은 경우 야간․휴일근로를 행할 수 있다.
3.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적용제외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임신중인 여성근로자에게 적용할 수 없다.
Ⅲ. 생리휴가
1. 의의
사용자는 여성근로자가 청구하는 때에는 월 1일의 생리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는 여성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작업능률의 저하를 방지하려는데 그 취지가 있다.
2. 주요내용
....
임산부의 보호휴가 전반의 법적 검토 노동관계법상 임산부의 보호휴가
1. 의의
임산부의 보호휴가와 관련하여 현행 근로기준법 74조에서는 산전후휴가, 유사산휴가 등을 규정하고 있다. 이는 출산, 유산으로 손상된 모체의 건강회복 위해 일정기간동..
임산부의 문제와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임산부의 문제와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관성
I. 태아와 임산부 건강관리
이 시기에 사회복지사나 보건전문가는 조산 혹은 저체중아를 출산할 위험이 있는 여성을 발견하고 의료, 영양, 교육, 그리고 심리사회적인 ..
근로기준법상 임산부의 보호 연구 근기법상 임산부의 보호 연구 (근로기준법)
Ⅰ. 들어가며
1. 의의
근기법74는 산전후·유사산휴가 등을 통하여 임산부의 근로에 대하여 특별한 보호를 하고 있다.
2. 논점
21세기 지식기반 경제사회에서 여성인력..
모성 보호 정책중 유산, 사산휴가, 유급 태아 검진정책에 대하여 모성 보호 정책 중 아직까지 미비한 부분인 유산과 사산휴가, 그리고 유급 태아 검진정책에 대한 내용을 레포트 형식으로 작성
Ⅰ. 서론
모성보호정책의 근본 취지는 여성의 생리, 출산, 수유 등과 같이 여성의 ..
모성보호법의 필요성과 문제점, 해결책 모성보호법이 필요한 이유와 그에 따르는 문제점 그리고 그것에 맞는 해결책 제시
Ⅰ. 서론
모성보호정책의 근본 취지는 여성의 생리, 출산, 수유 등과 같이 여성의 고유한 모성 기능을 특별 보호함으로써 임산부 ..
여성근로에 대한 법상 특별보호 여성근로에 대한 특별보호 규정 검토
Ⅰ. 서설
1. 헌법상 보호와 기본체계
헌법 제32조 제4항에서 여성에 대한 보호와 제36조 제2항에서 모성에 대한 특별보호를 규정하고 있으며, 여성근로자의 보호에 관한 일반..
근기법상 여성과 소년보호 여성근로자 및 연소근로자(미성년자) 보호에 관련한 근기법상 사항 검토
목차
1. 여성근로자의 보호
2. 임산부의 보호
3. 연소근로자의 보호
4. 미성년자 보호
1. 여성근로자
Ⅰ. 서
1. 여성근로자보호의 필..
여성근로 전반에 대한 공통된 보호 여성근로 전반에 대한 공통된 보호
1. 유해/위험사업에의 사용금지
사용자는 임산부를 도덕상 또는 보건상 유해/위험한 사업에 사용하지 못한다. 또한 사용자는 일반 여성도 보건상 유해/위험한 사업 중 임신 또..
모성보호 및 직장과 가정의 양립지원제도 현행 노동관계법상 모성보호 및 직장과 가정의 양립지원제도 연구
1. 들어가며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는 여성의 시대라고 한다. 그러나 여성의 사회참여 기회가 많아지고 그 역할이 점차 확대되어 경제주체로서..
최신 개정법에 따른 산전후 휴가제도에 대하여 최신 개정법에 따른 산전후휴가 제도 연구
1. 관련규정
근로기준법 제72조(임산부의 보호)
①사용자는 임신 중의 여성에 대하여 산전후를 통하여 90일의 보호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휴가기간의 배치는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