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근로계약직 근로자란 일반적으로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정규직)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기간의 정함(1년 이내)이 있는 근로계약을 체결하면서 그 기간이 정규직에 비하여 짧은 자를 말하며, 임시직 근로자, 계약직 근로자, 계절적 근로에 종사하는 자, 촉탁직 사원, 일용직 근로자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대량생산체계 및 종신고용제하에서는 근로자가 입사 후 특별한 사유가 없는한 정년까지 당연히 고용을 보장받는 것이 우리나라 고용체계의 전형을 이루어 왔으나, 생산력의 원천이 단순한 근로시간의 양에 의해 결정되는 시대에서 정보 및 지식 등의 무형의 자산이 이를 대체하는 새로운 시대의 출현은 기업의 고용체계에도 영향을 끼쳐 고용에 있어서도 개별 근로자의 창의적, 전문적 능력을 중심으로 하는 능력에 따른 고용체계가 점점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능력중심의 기업문화는 임금체계에서도 기존의 연공급에서 연봉제를 중심으로 하는 성과급체계로의 전환이 이루어졌고, 고용체계에서는 종신고용체계에서 단기고용체계로 전환되었다.
사용자가 단기고용체계를 활용하면서 얻는 가장 큰 장점은 근로기준법에서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는 해고제한 규정을 적용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근로기준법 제30조에서는 정당한 사유없이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근로관계를 단절할 수 없도록 하고 있고, 그 정당한 사유에 대해서도 지금까지 판례는 엄격하게 해석하고(근로기준법 제31조에 의한 정리해고사유에 해당되거나, 근로관계를 단절하게 할 정도의 근로자의 개인적 사유가 있는 경우 등) 있어 사실상 사용자의 근로관계 해지권한이 극도로 제한되어 있었다.
그러나 사용자는 단기고용계약을 체결함으로써 근기법상의 까다로운 해고제한 규정을 회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기변동에 따라 수시로 고용량을 조절할 수 있고, 더욱이 기간의 정함이 없는 정규직 근로자에 비해 퇴직금 등 각종 수당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고용의 유연화 및 경비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
기간제 근로자의 근로계약 체결 법적 검토 기간제 근로자의 근로계약 체결 법적 검토 (노동법)
1. 근로계약체결의 방법
사용자는 근로자를 사용함에 있어서 원칙적으로 2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기간제근로자를 사용할 수 있다(기단4①).
이 경우..
단기근로계약서 및 지침서 1년미만 단기계약근로자에 대한 근로기준법 등 적용방법 지침
《근기 68201-1, 2000.1.3》
Ⅰ. 1년미만 단기계약근로자의 개념과 유형
○ 1년미만 단기계약근로자의 개념 :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계약 아래서 ..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보호의 법적 개요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보호의 법적 개요 (노동법)
1. 들어가며
현재 大法院은 지입차주, 캐디, 학습지교사, 보험회사 외무원 등의 고용관계에 대하여 사용종속관계가 없다 하여 근로자성을 부인하고 있어, 이러..
[비교 노동법] 미국노동관계법의 근로자 개념 미국노동관계법의 근로자 개념
과목: 비교노동법
담당교수 :
학과:
성명:
학번: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미국노동법의 근로자 개념
1. 개관
2. 보통법과 실업보상입법에서 피용자의 개념
3. 공정기준법상 근..
도급근로자의 임금지급 보호에 대한 법적 연구 도급근로자의 임금지급 보호에 대한 연구 (노동법)
Ⅰ. 들어가며
근로자에 대한 임금지급의 책임은 해당근로자와 근로계약을 체결한 사용자가 지는 것이 원칙이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임금지급 책임을 제3..
노동법의 법원에 대한 연구 노동법의 법원 연구
Ⅰ. 의의 및 논점
1. 의의
노동법의 법원은 노동법이 존재하는 형식을 의미한다. 법원을 법관의 재판의 규준으로 이해하는 견해는 主觀的 規範性을 갖는 근로계약이나 사용자의 지시도 법원으..
근기법상 단시간 근로자의 보호의 법적 검토 단시간근로자 보호에 대한 노동법상 검토
Ⅰ. 들어가며
1. 의의
다른 유형의 비정규 근로자와는 달리 단시간 근로자에 대해서는 현행법령상 명시적 정의규정이 존재한다. 단시간근로자란 당해 사업장의 동종업무..
이승만 정권과 노동법 이승만 정권과 노동법
1. 연혁
- 1947년 헌법 제18조에 노동3권, 근로자의 이익균점권 규정
- 1953년 노동법 제정 : 노동조합법, 노동쟁의조정법, 노동위원회법, 근로기준법을 전시 하 피난 국회에서 제정, 맥..
노동법의 법원 및 법원 적용의 원칙 노동법의 법원 및 법원 적용의 원칙
Ⅰ. 서
1. 의의
일반적으로 법원이란 법의 존재형식을 말한다. 따라서 노동법의 법원이라 함은 노동법의 존재형식을 말한다.
2. 학설
무엇이 노동법의 내용을 결정하는 근거..
노동법의 의미와 추구이념 노동법의 의미와 추구 이념
1. 들어가며
노동법 이란 자본주의 사회에서 근로자의 인간다운 생활 의 실현을 기본이념으로 하면서, 이것을 실현할 수 있도록 근로관계, 즉 근로자의 노동력 제공에 관련된 생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