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의 및 취지
근로기준법에서는 근로계약에 포함되어 반드시 명시되어야 하는 근로조건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우월한 지위를 남용하여 근로조건의 불확정 상태에서 근로자의 근로를 수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2. 종전 근기법의 문제점
종전 근기법의 규정은 임금에 대해서만 서면명시를 규정하고 있어, 임금 외의 근로조건에 관하여 다툼이 있을 경우 근로자가 입증하기가 곤란하였다.
3. 논의의 실익
최근 개정된 근로기준법에서는 사용자의 근로조건 명시의무의 대상을 확대하고 있어, 사용자의 과도한 부담인지의 여부와 개정된 근기법의 내용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II. 개정 근기법의 내용
1. 서면명시의무의 강화
개정법에서는 근로조건 서면명시사항으로 임금 외에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시간, 휴일, 휴가를 추가하고 근로자의 요구가 있을 경우 교부 의무를 부과하였다.
또한, 종전에 대통령령으로 서면명시를 부과하던 것을 임금, 근기법상의 근로시간, 휴일, 휴가를 서면으로 명시하도록 법률에 규정하고 있다.
2. 의무적 명시사항
(1) 서면명시사항
사용자는 근로계약 체결시 근로조건을 명시할 경우, i)임금의 구성항목, 계산방법, 지급방법, ii)소정근로시간, iii)휴일, iv)연차유급휴가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서면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근로시간과 휴가에 관하여는 상시근로자 5인 이상의 사업 또는 사업장에만 명시의무가 적용된다.
(2) 그 밖의 근로조건
서면명시 이외에 명시해야할 근로조건은, i)취업의 장소와 종사하여야 할 업무에 관한 사항, ii)취업규칙의 작성 및 신고에 관한 사항 등이 있다.
3. 서면명시의 방법 및 교부의무
....
근로조건의 명시의무 개정 근로기준법에 따른 근로조건의 명시의무에 대한 검토
Ⅰ. 들어가며
근기법은 사용자가 근로계약 체결시 임금․근로시간 기타의 근로조건을 근로자에게 명시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24조)
근로자가 처음..
07년 개정 근로기준법에 따른 단시간 근로자에 대한 쟁점 07년 개정 근로기준법에 따른 단시간근로자에 대한 쟁점
I. 서
1. 개념
단시간근로자라 함은 당해 사업장의 동종업무에 종사하는 통상근로자보다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짧은 근로자를 말한다.
2. 입법배경
제3..
단시간 근로자의 근로조건 단시간 근로자의 근로조건
1. 들어가며
시간근로자란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당해 사업장의 동종업무에 종사하는 통상근로자의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에 비해 짧은 근로자를 말한다(근로기준법 제21조). 이러한 ..
근로기준법상 근로조건 명시의무 연구 근로조건 명시의무 법적 연구 (근로기준법)
Ⅰ. 들어가며
1. 의의
근기법17는 근로계약에 포함되어 반드시 명시되어야 하는 근로조건을 규정하고 있다.
종전에는 근로계약 체결시 임금의 구성항목·계산방법·지불..
근로조건의 명시의무와 명시의무 위반의 경우 근로자 보호 근로조건의 명시의무에 대한 근기법상 검토
Ⅰ. 들어가며
1. 의의
현행 근로기준법 17조에서는 근로계약 체결시 근로조건 명시의무를 규정하고 있으며, 19조에서는 명시한 근로조건이 사실과 다른 경우 근로자에..
07개정 근로기준법에 따른 정당한 이유 없는 해고의 구제절차 07 개정 근로기준법에 따른 정당한 이유 없는 해고의 구제절차
I. 서
1. 정당한 이유 없는 해고의 의의
근기법의 규정에 위반한 경우는 물론 단체협약, 취업규칙 및 근로계약에서 정한 해고의 사유나 절차 등에 ..
근로기준법상 근로조건 명시의 무 연구 근로조건의 명시의무
Ⅰ. 들어가며
사용자는 근로계약체결시 임금․근로시간 기타의 근로조건을 근로자에게 명시하여야 한다. 이는 근로조건의 미확정 상태에서 불리한 취업을 강제 당할 위험성을 예방하고, 명시..
근로조건의 명시의무1 근로조건의 명시의무
Ⅰ. 서
근기법은 사용자가 근로계약 체결시 임금․근로시간 기타의 근로조건을 근로자에게 명시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24조)
근로자가 처음부터 근로조건의 내용을 모른다는 것은 계..
근로기준법상 근로조건의 명시의무 근로조건의 명시의무에 관한 근기법상 검토
Ⅰ. 서설
1. 의의
근기법 제17조에서는 “사용자는 근로계약을 체결할 때에 근로자에게 임금, 소정근로시간, 휴일, 연차유급휴가, 그 밖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근로조건..
법정휴가의 효율적 운영방식에 대한 검토 현행 근로기준법상 법정휴가의 효율적 운영방식에 대한 검토
1. 들어가며
개정 근로기준법하에서 기본적으로 토요일 4시간은 근로제공의 의무가 없는 휴무일로 노동부는 해석하고 있어 기존의 토요휴무로 대체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