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주의 인사제도 실현을 위한 직능자격제도

1. 능력주의인사제도실현을위한직능자격제.hwp
2. 능력주의인사제도실현을위한직능자격제.pdf
능력주의 인사제도 실현을 위한 직능자격제도
능력주의 인사제도 실현을 위한 직능자격제도

I. 서설

1. 의의
직능자격제도란 직무수행능력의 발전단계에 따라 일정한 자격등급을 설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개인의 승격 및 승진과 보상을 결정하는 연공과 능력을 절충한 인사시스템을 말한다.

2. 도입배경
기업이 연공주의에 기초한 임금제도나 승진제도 운영으로 인한 문제점이 도출되면서 연공과 능력을 절충하여 우리의 현실에 적합한 능력주의 인사제도를 실현하고자 도입하였다.

II. 직능자격제도의 유용성

1. 종합적 인사시스템
직능자격제도는 승진, 교육훈련 , 인사고과, 임금관리 등을 포괄하는 종합적 인사시스템이다.

2. 현실에 유효
연공주의와 능력주의를 절충한 것으로 우리나라 기업현실에 도입 가능한 개선방법이다.

3. 직무와 인간을 동시 충족
인사관리사의 2대 관심사인 직무와 사람의 문제를 동시에 만족시키려는 시도이다.

4. 공정성, 객관성 확보
정당하고 공정한 사내의 인사서열을 확립함으로써 종업원의 사기를 드높이고 조직분위기를 활성화한다.

III. 직능자격제도 도입의 전제조건

1. 직능분류제도의 확립
직능자격제도는 종업원의 능력에 따라 일정한 자격을 부여하는 제도로서 직능자격제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종업원의 능력을 분류하기 위한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2. 신뢰성과 타당성있는 평가기준의 확립
직능자격제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신뢰성 있고 타당한 평가기준이 확립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종업원은 오히려 직능자격제도를 불신하게 되고 따라서 종업원 전체의 사기저하를 초래하고 기업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