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기한 내용이 다른 조형물, 전통도구나 회화,문양,서체, 의상등에는 어떻게 적용 되었는가를 생각해보자.
상기한 내용이란 한국디자인의 특성인 소박성,포용성,탈기교성,관조성을 말한다.
1.남대문:기와지붕 곡선의 하늘을 찌르는 듯한 모습에서 한국적인 디자인을 찾을 수 있다.
2.백자: 소탈한 서민적 모습인 백자의 조형미와 빛깔은 소박하고 기교가 없이 단아하다.
3.우리나라의 정원
우리나라의 정원은 자연을 그대로 옮겨 놓았다. 이는 자연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인위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등의 극히 자연적인 변화미의 포용성을 엿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정원은 나무를 둥글게 자르는 등 아기자기하게 인위적으로 꾸민 일본 정
원과 비교할 수 있다.
4.이 외에도 사물에 내재하는 정신적인 가치를 중시하는 관조성이 나타난 (여백의 미) 회화
등과 기능적이면서 군더더기가 없는 장독대 등의 의견이 있었다.
2) 한국적 조형의 특성이 잘 적용된 디자인의 이미지를 찾으시오.
1. 기와의 지붕선을 현대 건물에 접목시킨 광복관과 프랑스 대사관
한국의 정취와 프랑스의 우아함
이 적절히 어우러진 작품으로 건축가 고
김중업씨의 최고의 걸작으로 알려져 있다.
2.버스 정류장의 앉는 곳을 장승이
서 있는 디자인의 휴게 공간으로 만
들었다. (책에서 복사한 사진 첨
부 했었음.) 곳곳에 있는
버스정류장에 장승을 디자인하여
세워 놓은 것은 한국적인 디자인을
일상 생활 속으로 잘 포용시킨 예인
것 같다.
3. 한국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집을 이미지로 올렸다. 황토로 만든 집은 우리나라 토속 건축물의 재료이며 건강에도 좋다.
재일 한국인
문학에 투영된 재일한국인의 정체성
-가네시로 가즈키의 “GO“를 중심으로-
Ⅰ. 서 론
Ⅱ. 본 론
1. 재일한국人 의식 형성의 배경
2. 시기에 따른 재일한국인 문학의 변화
3. “GO“를 통해 본 현재 재일한국..
한국의 전통색 - 한국인의 색채의식 Ⅰ. 한국인의 색채의식
1. 전통색의 개념
2. 백색지향의 색채의식
3. 정색과 간색
4. 한국색채의 표현
Ⅱ. 한국인의 색채감성
1. 한국인의 색채 감성 공간
2. 한국인의 지역별 색채 감성 공간의 비교
3. 한국인이 사..
한국인의정체성의현주소와확립방안 한국인의 정체성의 현주소와 확립방안
Ⅰ. 한국인의 정체성과 주체성
Ⅱ. 한국인의 정체성은 어디서 오는가
Ⅲ. 한국인의 정체성의 현주소
Ⅳ. 한국인의 정체성 확립방안
1) 전통적인 문화의 재 발굴과 지속적인 ..
[독후감] 한국의 정체성 일본음악을 즐겨 듣는 한국인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
- 탁석산 『한국의 정체성』을 읽고
Ⅰ. 책을 읽기 전에
나는 한국인이다. 나는 J-POP을 즐겨 듣는다. 한번 쯤 들어본 일본음악의 숫자가 족히 5,000곡은 될..
한국인의 의식구조 한말 우리나라에 와서 살았던 독일 사람 뮐렌도프는 '한국의 벼농사는 농사라기보다 원예' 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는 유럽에 있어 농사란 광대한 토지에 사람의 품을 별로 들이지 않고 영위하는 생업인 반면에 원..
한국문화와한국인 <한국 문화와 한국인>
‘한국인의 의식과 사상’이라는 강의명만 보고 처음엔 한국인의 의식 전반에 걸친 문제들과 사상에 대해 수업하는 것인 줄 알고 신청했던 기억이 난다. 막상 수업이 진행되었을 때는 내 ..
한국인의 정에 대한 학문적 관심 한국인의 정에 대한 학문적 관심
한국의 독특한 사회현상 및 정서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1980년대 중반에 태동하였다. 조혜정은 한국의 사회변동 및 가족주의와 관련된 연구에서 한국인의 집단성은 가족주의에서 ..
한국인의 신관이해를 통한 복음전달 방안 연구-김상수 발제논문 한국인의 신관(神觀)이해를 통한 복음 전달 방안 연구
A.고대 한국인들의 신관 : 무속/3
A.한국인의 신관과 기독교의 신관의 유사점/8
B.한국인의 신관과 기독교의 신관의 차이점/8
이것은 한국인의 종교의식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