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사회의 구조는 종교를 포함한 사회의 모든 영역이 유교로 통합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 속에도 역시 긴장이 심화되어서 여러 가지 불평도 나왔으나 유교의 체제로는 극복할 수 없었다. 따라서 동학의 창도도 이러한 사회 혼란을 유교에서 벗어나 해결하기 위해서였다.
동학은 급속히 전파되었고 사회 문제가 없어지지 않는 한 막을 수 없었다. 또 동학은 나라 안의 문제만 본 것이 아니었다. 이 때는 대원군의 개혁으로 조금 문제의 숨통이 트이는 시기였으나 나라 밖의 세력이 몰아닥치기 시작하였다. 만약 개항이라는 변혁을 하면 유교적 사회 체제마저 흔들릴 수 있는 유교 중심의 사회이기 때문에 쇄국 정책을 택하였으나 결국 개화의 흐름은 몰아닥치고 말았다. 동학은 이에 대한 대응의 길로서도 마련된 것이다.
동학은 유교를 뛰어넘으면서 서학에도 버금가는 종교를 만들려고 하였다. 그 예로 동학의 신념인 인도주의적인 평등 사상을 보면 여기서는 신분제를 반대하였다. 따라서 신도가 급속히 늘어났으며 이들을 유기적으로 조직화시켰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온 것이 피지배 계층의 조직적인 혁명 전쟁인 갑오 동학 농민 운동이었다.
이 운동은 조직적인 대대적 무력 항쟁이었고 유교적 체제에 대항하면서 외세에 반대하는 등 새로운 종교를 기반으로 사회의 혁파를 추구하고 있었다. 따라서 동학 운동은 혁명적이었다.
사회 운동이 이룩되기 위해서는 상징화의 과정을 거쳐 동원화의 과정을 더한 뒤 사회 속에 제도화되어야 한다. 비록 동학 농민 운동은 이러한 제도화의 과정을 이루지는 못하였지만 다른 의미로서 제도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아래로부터 민족주의를 이끌어 내었고 민중의 힘을 보여주었다. 또 현실을 혁파하고자 하는 창조적 긴장을 통하여 역사 변동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즉 동학은 참여적 저항의 중요성을 우리에게 일깨워 주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동학 혁명을 어떻게 기억하고 있으며 어떻게 기억하는 지가 우리의 역사를 결정지울 것이다.
동학혁명의 과정과 정치사회적 의미 동학혁명의 과정과 정치사회적 의미
조선 사회의 구조는 종교를 포함한 사회의 모든 영역이 유교로 통합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 속에도 역시 긴장이 심화되어서 여러 가지 불평도 나왔으나 유교의 체제로는 극복..
한국 사회의 구조와 변동
제 7 장 한국 사회의 구조와 변동
제 8 장 한국 사회의 변동과 가족주의
사회학은 사회적 관심과 이론이 연결되어 있어야 하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목적 달성에 치중해 왔다. 또 아직 우리다운 진정한 이론도 갖..
사회 운동으로서의 3.1운동의 구조와 과정
사회 운동으로서의 3.1운동의 구조와 과정
조선 시대의 끝 무렵의 사회 운동 세력으로는 동학을 기본으로 한 갑오 농민 운동과 기독교를 기본으로 한 독립협회 운동을 우선 꼽을 수 있다. 이 둘의 신념 체계는 ..
고 조선의 지배체재와 사회 성격 고조선의 지배체재와 사회 성격
1. 고조선의 지배구조
관제(官制)는 그 당시 사회의 상부구조이기 때문에 관제를 해명하는 것은 사회의 사회경제구성을하는 주요한 방법의 하나이다. 『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
조선시대의 사회와 문화 - 조선후기의 경제적 변화와 농민항쟁 조선시대의 사회와 문화 - 조선후기의 경제적 변화와 농민항쟁
-목 차-
Ⅰ. 머리말
Ⅱ. 조선 후기 경제 구조의 변동
1. 농업 생산력의 발전과 농민층의 분화
2. 수공업과 광업의 발달
3. 상품화폐 경제의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