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 - 조선후기 호적대장 연구에 관해서

1. 역사학 - 조선후기 호적대장 연구에 관.hwp
2. 역사학 - 조선후기 호적대장 연구에 관.pdf
역사학 - 조선후기 호적대장 연구에 관해서
호적대장 연구

-목차-

1.호적대장의 정의와 실재(實在)
2. 조선후기 호적의 작성과정
1)호구단자의 작성과 그 내용
2)호적중초와 각종 성책의 작성
3. 호적대장 ‘호구’기록의 검토
4. 호적대장 본문의 직역기재
1) 직역기재의 양상
2) 직역 기재의 의미
3) 직역연구의 과제
5. 조선후기 호적대장 연구 동향
1) 1970년대까지의 호적대장 연구동향
2) 1980년대 이후의 호적대장 연구의 경향
6. 호적대장 이해의 새로운 방향

1. 호적대장의 정의와 실재(實在)
1890년대 말의 광무년간에 소위 ‘광무호적’이 매년 작성되기 전까지, 조선왕조는 삼년을 한 식년으로 하여 호적을 작성하였다. 법제적으로 규정된 기재양식에 따라 호구를 기록하여 관에 제시하면 그것을 모야 행정구역별로 호를 편성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현실적으로는 기왕의 기재에 준하여 다음 식년의 호구가 기록되어갔던 것으로 보인다. 이 개별 호구의 기록을 주(州)․ 부(府)․ 군(郡)․ 현(縣) 단위로 묶은 것이 호적대장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