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장애아교육] 정서행동장애아동의 교육 및 중재(지도)방법

1. [정서장애아교육] 정서행동장애아동의 .hwp
2. [정서장애아교육] 정서행동장애아동의 .pdf
수업 진행을 방해하는 부적절한 행동습관과 사회적 문제를 보이는 학생들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수업 중 큰소리로 떠드는 행동은 교사의 수업 진행뿐만 아니라 다른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방해된다.
수업 중 큰소리로 떠드는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교수 방법 : 규칙 정하기, 강화, 차별 강화, 반응대가, 자기조절
자리에 앉아 있어야 하는 시간에 교실을 돌아다니는 부적절한 행동으로 교사의 수업 진행을 방해할 뿐 아니라 학습 진도에 차질을 보이고 다른 학생들의 학습활동까지 방해된다.
인간 행동과 사회환경-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예를 들면 친구가 상호작용을 시작해 올 때 적절하게 반응하는 행동을 증가시키거나 수업 중 자리를 이탈하여 돌아다니는 행동을 감소시키거나, 10이 넘어가는 한자리 수덧셈을 새롭게 학습하는 등의 목표 행동들이다
수업 진행을 방해하는 부적절한 행동습관과 사회적 문제를 보이는 학생들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지각하는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교수 방법 : 강화, 과제 분석, 출석부 기록, 시간표 조절, 계약서, 부모 면담, 반응대가, 집단 강화, 시계 사용, 좌석 배치
수업 중 큰소리로 떠드는 행동은 교사의 수업 진행뿐만 아니라 다른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방해된다.
수업 중 큰소리로 떠드는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교수 방법 : 규칙 정하기, 강화, 차별 강화, 반응대가, 자기조절
자리에 앉아 있어야 하는 시간에 교실을 돌아다니는 부적절한 행동으로 교사의 수업 진행을 방해할 뿐 아니라 학습 진도에 차질을 보이고 다른 학생들의 학습활동까지 방해된다.
학습준비기술이 빈약하다는 것은 수업에 주의를 집중하지 못하거나, 주의 집중 결핍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과제를 수행하지 못하고, 또는 과제 수행을 위한 작업 자체를 계획하고 조직화하지 못하거나 정확한 반응을 보이지 못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주어진 숙제나 수업 중의 과제를 완성하지 못하는 학생의 경우 현행 수준이나 진도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기 때문에 수업을 진행하기 어렵게 만든다 .학습 준비기술의 중요한 세 가지 구성요소는 주의 집중력, 조직력, 반응의 정확도이다.
행동 문제를 보이는 학생 중수업시간에 수업 내용과 관계없는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허공을 응시하기, 아무런 목적 없이 다른 학생쳐다보기, 낙서를 하거나 수업과 상관없는 일에 열중하기이다.
이상 행동의 심리학/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대왕사 /2012
인간 발달/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교문사/2016
행동, 수업, 반응, 과제, , 학습, 주의, 집중, 학생, 강화, 진행, , , 교사, 거나, , 방법, 기술, 조직, 구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