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서의 호는 석경우(石耕牛) .필명은 학수리(鶴首里) 상수시(尙壽施). 창씨명은 석경우인(石耕牛人). 황해도 해주출생이다.
제2고보를 거쳐 1931년 경성제대 법문학부 영문과를 졸업. 1933년 동대학 연구실을 거쳐 런던대학을 수료했다. 그후 곧 교수 야마모코의 후임으로 동교 졸업생으로는 처음으로 강사로 발탁되고 일본의 고급사상지 [개조] 및 일본 영문학지에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첫 논문은 앤드류 세실 브레들리의 시론을 소개한 ‘미숙한 문학’으로 알려져 있다. 1933년 [구미현대문단 총관-영국편], 휴우 월포올의 [영국현대소설의 동향] [현대주주주의 문학이론의 건설- 영국평단의 주류][비평과 과학-현재주주주의 문학이론의 건설속편]등 주지주의(主知主義)의 소개 및 해설을 가지고 이향하 ,김기림과 같이 프로문학과 인상주의 비평이 퇴조할 시기에 등장했다.
이 무렵 밀턴 우울드맨의 [미국현대소설의 동향][제임스 조이스의 [반종일] 등의 번역을 비롯, [문학발견시대][문예수감-단상] [조선문학과 비평의 임구][풍자문학론][비평의 형태화 기능][고전부흥의 사회적 필연성] 등을 발표했다. 이들 중 번역 및 평문의 주조는 토마스 어네스트 홈의 신고전주의문학론이 기초이다.이것이 바로 이미지즘 시론이며 , 당시 한국에서는 모더니즘으로 받아들여졌으며 주지주의문학론이란 것도 이의 다른 표현인 것이다.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토마스 스턴즈 에리어트의 [전통과 개인적 재능],허버트 리드의 [정신분석과 비평],아이버 암스트롱 리처즈의 [시와 과학]을 소개하여 비평의 아카데미화를 우리 문학사상 처음으로 보여 주었다.
....
서정주_1
Subject :
Major :
Prof :
Student No. :
Name :
Date :
미당(未堂) 서정주(徐廷柱)
- 자신의 과오를 인정한 친일파
- 목 차 -
1. 생 애
2. 업 적
3. 친일문학
4. 사 상
5. 결 론
# 참고문헌
1. 생 애
서..
서정주 시 연구 서정주 시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1.한국적인 정서를 가장 아름다운 언어로
2.친일행각 등은 아쉬움으로 남아
3...
소설 고요한 폭풍 서평 “고요한 폭풍” 속 친일논리
이석훈 “고요한 폭풍”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고요한 폭풍” 은 어떤 소설인가
- “고요한 폭풍”이라는 제목의 의미는
- 형식적 특징
1) 자전적 소설과 모델 소설이란
2) “고요..
친일 문학에 대해서 누구에게나 잊고 싶은 기억이 한 가지씩은 있듯이, 우리 문학사에도 잊고 싶은 기억이 있다. 그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지금부터 논의하려는 친일문학이 아닐까 한다. 일제 강점의 시절, 정말 좋아서 친일..
개화기의윤치호연구
Subject :
Major :
Prof :
Student No. :
Name :
Date :
개화기의 윤치호 연구
- 목 차 -
Ⅰ. 서 론
Ⅱ. 본 론
1. 내용요약
1) 근대변혁사상
2) 근대변혁방법론
3) 친일협력의 논리
2. 비평
1) 저자의 연..
친일의 사상적 배경인 동양사상과 노천명 친일시 고찰 친일의 사상적 배경인 동양사상과 노천명 친일시 고찰
Ⅰ. 서론
일제 강점기에 한국문단은 독립적인 의지를 드러낸 작가와 친일적 작품들을 쓴 작가, 그리고 절필을 한채로 시대를 살았던 작가들로 대별될 수 있다..
홍난파
Subject :
Major :
Prof :
Student No. :
Name :
Date :
홍 난 파
- 민족의 한을 노래한 음악가인가, 일제를 찬양한 친일파인가
- 목 차 -
Ⅰ. 들어가는 글
Ⅱ. 홍난파의 생애와 업적
Ⅲ. 홍난파의 친일행위
Ⅳ. ..
윤치호
좌옹(佐翁) 윤치호(尹致昊)의 내면세계를 통해 본 식민지 시기
- 목 차 -
1. 머리말
2. 내용소개
3. 내용비평
4. 결 론
1.머리말
좌옹 윤치호, 수많은 한국의 근대 인물 중에서 그만큼 화려하고 다채로운 경..
해방기 시대상황 解放期 時代狀況
Ⅰ. 序論
해방기의 시대현실은 우리 민족에게 있어 일본 식민지 지배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左·右의 대립 및 분단이라는 새로운 역사의 시작을 의미한다. 제 2차 세계대전의 패배로 일본이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