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단체협약 적용
노사간 교섭을 토해 합의를 이룬 단체협약은 협약 당사자인 노조와 사용자에 유효기간동안 효력이 인정된다.
2. 단체협약 효력확장의 필요성
이러한 단체협약은 소수미숙련 근로자보호, 협약종료 후 여후효(신협약 체결되지 않은 경우 근로조건 어떻게 규율하나의 문제)문제 등이 제기되며 근로조건 평준화로 사용자의 불필요한 경쟁방지 위해 현행 노조법에서는 단체협약의 효력확장요건 및 효력에 대하여 규율하고 있다.
Ⅱ. 단체협약의 인적 적용범위로서 사업장 단위의 일반적 구속력(35)
1. 의의
단체협약의 적용범위는 원칙적으로 조합원에게만 해당하며, 비조합원은 적용 대상이 아니다.
2. 비조합원에 대한 적용
사용자의 임의적용, 사업장단위의 일반적 구속력에 의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3. 사업장 단위의 일반적 구속력
1) 의의
하나의 사업장내 비조직 근로자 근로조건 보호, 균등처우 실현을 위해 사업장 단위의 일반적 구속력을 인정한다.
2) 확작 적용의 요건
① 하나의 사업장
하나의 사업장이란 근로조건 결정단위를 의미하며, 하나의 단협을 적용받는 근로자 반수이상 산출단위이다.
② 상시 사용되는 근로자
이는 고용형태를 불문하고, 사실상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근로자를 의미한다.
③ 동종의 근로자
동일한 직종(동일, 유사성), 어떤 작업이 유기적 총체인 경영의 작업 활동 일부 이루는 것이면 동종근로자라고 보는 것이 판례의 태도이다.
④ 반수이상의 근로자
단협 본래적 적용을 받는 노조 조합원수를 기준으로 한다.
⑤ 하나의 단체협약의 적용을 받게 되는 때
....
단체협약의 적용 범위에 대한 쟁점검토 단체협약의 적용범위에 대한 노조법상 연구
Ⅰ. 들어가며
1. 단체협약의 의의
단체협약이란 헌법상 보장된 근로3권의 구체적인 산물로서 노사관계 당사자가 근로조건 기타 노사관계의 제반사항에 대해 합의한 문..
단체협약의 효력확장제도에 대한 법적 검토 노조법상 단체협약의 효력확장제도에 대한 검토
Ⅰ. 들어가며
1. 단체협약의 의의
단체협약이란 헌법상 보장된 근로3권의 구체적인 산물로서 노사관계 당사자가 근로조건 기타 노사관계의 제반사항에 대해 합의한..
노조법상 단체협약의 효력확장제도에 대하여 단체협약의 효력확장 제도
Ⅰ. 들어가며
단체협약은 헌법상 근로3권에 근거하여 체결된 것으로서 노사관계 당사자가 근로조건 기타 근로자의 대우에 관한 사항과 노사간의 권리․의무에 관한 사항을 합의하여 서면..
단체협약의 적용 범위 노동법상 단체협약의 적용범위
Ⅰ. 들어가며
1. 단체협약의 의의
단체협약이란 헌법상 보장된 근로3권의 구체적인 산물로서 노사관계 당사자가 근로조건 기타 노사관계의 제반사항에 대해 합의한 문서를 말하며..
단체협약의 효력확장제도 전반에 관한 판례연구1 노조법상 단체협약의 효력 확장제도 관련 판례 연구
1. 사업장 단위의 효력확장제도
하나의 사업 또는 사업장에 상시 사용되는 동종의 근로자 반수 이상이 하나의 단체협약의 적용을 받게 된 때에는 당해 사업 ..
단체협약의 효력확장제도1 단체협약의 효력확장제도
Ⅰ. 서설
1. 단체 협약의 의의
단체협약은 노사관계당사자간 단체교섭의 결과로서 근로조건 기타 노사관계의 제반사항에 대해 합의한 문서를 말한다.
2. 효력확장제도의 의의
단체..
단체협약의 사업장내 효력확장 노동법상 단체협약의 사업장 내 효력확장
Ⅰ. 들어가며
단체협약은 협약당사자 및 그의 구성원만을 구속하므로 기업 내에서 비조합원 등 제3자에게는 협약의 효력이 미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조합원만..
단체협약의 효력확장 및 유효기간 단체협약의 효력 확장 및 유효기간에 대한 노조법상 검토
1. 단체협약 적용의 원칙
단체협약은 원칙적으로 근로자측에서는 단체협약 당사자인 노동조합과 그 조합원, 사용자측에서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단체에..
단체협약의 효력 확장제도 전반에 관한 판례 단체협약의 효력 확장제도 관련 판례 연구 (노조법)
1. 사업장 단위의 효력확장제도
하나의 사업 또는 사업장에 상시 사용되는 동종의 근로자 반수 이상이 하나의 단체협약의 적용을 받게 된 때에는 당해 사업 ..
단체협약의 효력확장제도 단체협약의 효력확장제도에 대한 법적 검토
Ⅰ. 들어가며
1.단체협약의 의의 및 기능
단체협약은 근로자의 사용자와의 실질적인 대등성을 확보하고 노사자치주의의 실현을 위해 보장된 헌법상의 근로3권에 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