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상시 근로자는 근로계약에 의하여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근로계약의 약정된 근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근로자는 퇴직하거나 해고 또는 정직 등을 당하지 않는 한 근로제공을 위하여 사업장에 출입할 권한이 있고 사용자는 정당한 이유 없이 근로자의 사업장 출입을 제한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쟁의행위 기간 중의 근로자는 근로제공의 의무자가 아니라 사회적 대항자이기에 사업주의 의사에 반하는 사업장의 출입 및 점거의 정당성이 문제된다.
현행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이하 ‘노조법’이라 함) 제42조의 규정에 의하면 “쟁의행위는 생산 기타 주요업무에 관련되는 시설과 이에 준하는 시설로써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을 점거하는 형태로 이를 행할 수 없다”고 개정되었으나, 아직은 근로자의 쟁의행위는 사업장 점거가 일반적이며, 원칙적으로 사업장의 관리권은 사업주에게 있기에 노동조합의 쟁의권과 사용자의 재산권 및 시설관리권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노동조합의 정당한 쟁의행위 개시 이후 사용자가 이에 대한 대응 수단으로써 직장폐쇄를 하였음에도 조합원이 계속하여 사업장에서 연좌농성 등으로 직장을 점거하고 있을 경우도 있다.
근로자의 쟁의행위가 정당하면 노조법 제3조 및 동 제4조의 규정에 의하여 민·형사상의 책임이 면책되지만 정당하지 못하면 민·형사상의 책임발생은 물론 노조법상의 벌칙 적용의 문제가 대두되며, 다른 한편 쟁의행위 중의 근로자 또는 노동조합의 사업장 점거는 주거침입죄와도 관련이 있다.
2. 직장점거의 근거
가. 쟁의행위의 정당성
....
쟁의행위의 수단의 정당성 관련 판례 쟁의행위 수단의 정당성 관련 판례 연구 (노조법)
1. 쟁의행위 수단의 정당성 법리
파업은 근로자가 집단적으로 노무제공을 거부함으로써 업무운영을 저해하는 가장 전형적인 쟁의행위이다. 파업은 근로자가 자..
쟁의행위의 수단의 정당성관련 판례연구1 노조법상 쟁의행위 수단의 정당성 관련 판례 연구
1. 쟁의행위 수단의 정당성 법리
파업은 근로자가 집단적으로 노무제공을 거부함으로써 업무운영을 저해하는 가장 전형적인 쟁의행위이다. 파업은 근로자가 자..
직장점거에 대한 노조법상 쟁점 노조법상 직장점거에 대한 쟁점
Ⅰ. 직장점거의 필요성
우리나라에서는 전반적으로 기업별노조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쟁의행위 실시시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의 직장 시설을 기반으로 하는 부분은 필연적..
쟁의행위로서 직장 점거의 정당성 판단 기준에 관한 외국의 사례 쟁의행위로서 직장점거의 정당성 판단기준에 관한 외국의 사례
1. 들어가며
각국의 노동조합 조직체계나 단체교섭시스템 등이 상이하여 쟁의행위로서의 직장점거의 정당성 판단기준의 직접적인 비교는 곤란할 것..
쟁의행위유형 중 직장 점거의 정당성 직장점거의 정당성
Ⅰ. 들어가며
쟁의행위라 함은 파업․태업․직장폐쇄 기타 근로관계 당사자가 그 주장을 관철한 목적으로 행하는 행위와 이에 대항하는 행위로서 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행위를 말한다..
쟁의행위의 유형과 준법투쟁 쟁의행위의 유형과 준법투쟁
1. 쟁의행위 유형 관련 주요 판례
1) 쟁의행위의 당사자
“단체협약의 당사자가 될 수 있는 자만이 쟁의행위를 할 수 있다.” (헌재)
“지역별 ․ 산업별 ․ 업종별 노동조합의 경우에..
범죄의 의의와 종류에 대하여 범죄의 의의와 종류 (형법 총론)
Ⅰ. 범죄의 의의
1. 실질적 범죄개념
실질적인 의미에서 범죄개념은 사회에 유해하거나 법익을 침해하는 반사회적 행위라고 정의할 수 있다.
2. 형식적 범죄개념
형식적인 의미..
직장 점거의 정당성에 대한 법적 검토1 노동법상 직장점거의 정당성에 대한 검토
Ⅰ. 들어가며
1. 쟁의행위의 개념
쟁의행위란 노사관계당사자가 그 주장을 관철시킬 목적으로 하는 행위와 이에 대항하는 행위로서 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것..
피케팅의 정당성에 대한 법적 검토 쟁의행위의 유형 중 피케팅의 정당성
Ⅰ. 들어가며
1. 쟁의행위의 개념
쟁의행위란 노사관계당사자가 그 주장을 관철시킬 목적으로 하는 행위와 이에 대항하는 행위로서 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것을 말..
직장폐쇄의 정당성 직장폐쇄의 정당성
1. 들어가며
직장폐쇄는 사용자가 노동쟁의를 자기에게 유리하게 전개하기 위하여 노무수령을 집단적으로 거부하는 사용자의 쟁의행위로서 노동조합의 파업과 더불어 쟁의행위의 근간을 이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