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 필 과 곽 상
-도가의 발전-
목 차
시대적 배경
후한 왕조의 붕괴 이후 혼란기
세상의 재난과 화를 피해 세상에서 물러남
무너진 황권 체제 강화 필요
‘자유와 도덕’, ‘名敎와 自然’이 주요 쟁점
명교 : 윤리, 도덕, 정치 제도를 총칭하는 말
자연 : 인위적 행동을 더하지 않고, 그 본연에 맡김
新 道 家
신 도 가
[老子] 中 “도가 현묘한 것 가운데서도 또 현묘하다” (玄之又玄)
위진(魏晉)시대(3~4세기)의 현학(玄學)을 표현한 용어
현학은 道家의 학풍을 이어 받았음
儒家의 주요 경전이 新道家에 의해 수용됨
도가임에도 공자를 노자나 장자보다 훌륭하다고 평가
공 자 의 재 해 석
성인의 모습 : 욕심 내려 하지 않으려는 마음마저도 없는 상태
현자의 분별 : 욕심 내려 하지 않으려는 욕심을 가진 상태
공자는 잊음(忘)을 배웠다는 사실을 잊었기에(忘) 잊음에 대하여 말하지 않았다.
공자는 무욕하려는 욕심도 없는 경지이기에 무욕에 대하여 말하지 않았다.
고 환 의 주
공 자 의 재 해 석
배휘 : 무는 만물의 근본인데 공자는 무를 말하지 않고 노자는 무의 사상을 끊임없이 펼친 이유는 무엇인가
왕필 : 공자(성인)은 무를 체득해서 무란 가르칠 수 없는 것임을 알기에 유만을 말했고, 노자는 유의 테두리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여 자기들의 부족한 점을 가르쳤다.
청담의 설명
왕 필 ( 王 弼 )
자는 輔嗣(보사)
하안과 함께 현학의 창시자
노자의 [도덕경],[주역]의 주와 약례 저술
삼국시대 위나라 상서랑
....
현학 위진 남북조시대 현학(玄學) 위진 남북조 시대
중국 역사상 가장 사회가 혼란스럽고 분열된 이 시대는 정권 탈취의 악순환과 그에 따른 정치적 부패와 전란 때문에 염세적인 세계관이 팽배하였다. 사람들은 천지간에 태어나는 것..
공자의교육사상 공자의 교육 사상
공자는 이념상의 [유]라고만 볼 수 없는 인물이었다. 일면 <논어>에 나타난 공자의 모습은 단순한 교육자임은 사실이며, 공자는 스스로 제자들이 국가와 사회에 유용하게 될 전 인격을 갖춘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