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가 "ㅇㅇ이는 누구랑 산책가?" 묻자 "엄마랑요. 손잡아요"라고 말한다.
교사가 "ㅇㅇ이는 눈을 본 적 있니?" 묻자 "네, 손에 올렸어요.녹았어요"라고 말한다.
교사가 "ㅇㅇ이는 벌본적 있어?" 묻자 "네, 정원에 있었어요"라고 말한다.
교사가 "ㅇㅇ이는 기차 타본 적 있어?" 묻자 "응, 할머니 집 갈 때요"라고 말한다.
교사가 "ㅇㅇ이는 새 본 적 있어?" 하자 "네, 하늘에 있었어요.날았어요"라고 말한다.
교사가 "무엇을 샀을까?" 묻자 "사과랑 바나나요"라고 말한다.
교사가 "밥맛있어?" 묻자 "네, 배불러요"라고 말한다.
교사가 "새는 어디 있을까?" 묻자 "나무위 요"라고 말한다.
교사가 "ㅇㅇ이는 누구랑 산책가?" 묻자 "엄마랑요. 손잡아요"라고 말한다.
그네가 멈추자 스스로 내리며 두 손을 털고 "이제 친구 차례예요"라고 말한다.
교사가 "ㅇㅇ이는 눈을 본 적 있니?" 묻자 "네, 손에 올렸어요.녹았어요"라고 말한다.
역할놀이 시간, 친구가 인형을 안고 있자 ㅇㅇ이는 "나도 아기 돌봐요"라고 말하며 작은 인형을 가져온다.
산책시간, ㅇㅇ이는 바닥에 떨어진 솔방울을 보고 "이거 뭐예요?"라고 묻는다.
친구가 "이건 내거야"라고 말하자 ㅇㅇ이는 잠시 멈추더니 "그럼 이건 내가 해요"라고 말하며 다른 접시를 옆에 놓는다.
친구가 "같이 달리자!" 하자 "좋아요!"라며 손을 흔든다.
교사가 "ㅇㅇ이는 비행기 타봤어?" 하자 "응, 엄마랑 갔어요"라고 대답한다.
친구가 인형에게 옷을 입히자 ㅇㅇ이는 "예쁘다!"라고 말하며 자신의 인형에게도 모자를 씌운다.
교사가 "두인형이 친구인가 봐?" 묻자 "응, 놀아요"라고 대답한다.
이야기 나누기 시간, 교사가 "오늘 아침에 뭐 했어요?" 묻자 ㅇㅇ이는 "엄마랑 빵 먹었어요"라고 말한다.
놀이시간, 친구가 자동차 장난감을 밀고 있자 ㅇㅇ이는 다가가 "같이 해요"라고 말한다.
교사가 "ㅇㅇ이는 새 본 적 있어?" 하자 "네, 하늘에 있었어요.날았어요"라고 말한다.
공이 바구니 옆으로 떨어지자 "아까워요!"라고 말하고 웃는다.
친구가 던질 때는 옆에서 "잘해요!"라고 응원하 고, 놀이가 끝난 후 스스로 바닥의 공을 주워 바구니에 넣는다
잠시 후 손가락으로 창문을 가리키며 "물방울 떨어져요"라고 말하고, "비가 똑똑 떨어져요"라며 리듬감 있게 말한다.
교사가 "무엇을 샀을까?" 묻자 "사과랑 바나나요"라고 말한다.
교사가 "사과는 어디에서 나올까?" 묻자 "나무에서요"라고 대답한다.
잠시 뒤 책 속 그림을 가리키며 "이건 나무예요. 위에 사과 있어요"라고 말한다.
교사가 "하늘에 뭐가 더 있을까?" 묻자 "새요!"라고 대답하고 작은 점을 여러 개 찍는다.
이야기 나누기 시간, 교사가 "오늘은 무슨 요일일까?" 묻자 ㅇㅇ이는 잠시 생각하다가 "수요일이에요!"라고 대답한다.
미술활동 시간, 교사가 색종이를 나눠주자 ㅇㅇ이는 "접어요"라며 종이를 반으로 접는다.
교사가 "뭐 만들고 있어?" 묻자 "비행기요!"라고 대답한다.
이야기 나누기 시간, 교사가 "오늘은 어떤 날씨일까?" 묻자 ㅇㅇ이는 창밖을 보며 "햇빛나요"라고 말한다.
교사가 "같이 만드니까 어때?" 묻자 "좋아요, 친구랑 같이요"라고 대답한다.
완성된 하트를 교사에게 보여주며 "예뻐요?"라고 묻고, 친구에게 "너는 뭐 만들어요?"라고 말하며 대화를 이어간다.
교사가 "밥맛있어?" 묻자 "네, 배불러요"라고 말한다.
교사가 "뭘 그리고 있니?" 묻자 "나무요!"라고 대답한다.
완성된 그림을 들고 친구에게 "내 나무봐요!"라고 말하며 웃는다.
교사가 "어떤 소리야?" 묻자 "바삭바삭!"이라고 대답한다.
만3세 2학기 관찰일지 5명 (만3세 유아관찰기록,유아관찰일지) 만3세 유아 2학기 관찰일지 입니다.
놀이활동과 일생생활에 대한 관찰내용과 해석 및 관찰한 내용에 대한 총괄적인 교사의 평가글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압축파일이며 총 5명 5페이지 분량입니다.
1. ..
만2세 1년 관찰기록 (영아전담 어린이집 관찰일지) 21명 만2세 1년 관찰기록 21명 분량입니다.
영아전담 어린이집 관찰일지이며 세세하게 기록하였습니다.
또래가 계단과 연결된 미끄럼틀로 올라가 엎드려 내려오는 것을 교사 옆에 서서 보고 있다. “OO도 OO처럼 타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