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상 위의 '색이 옅어지는 주스 그림카드'를 바라보며 첫 번째 카드에서 진한 색의 주스를 손가락으로 짚고, 두 번째 카드에서 색이 조금 연해진 모습을 보며 "여기 옅어졌어"라고 말하고, 세 번째 카드에서 거의 투명해진 주스를 보자 손바닥을 펼쳐" 이렇게 돼"라고 표현하며 색의 변화를 설명하고, 세장의 카드를 바닥에 순서대로 놓으며 "진하고, 조금 옅고, 거의 없어졌어"라고 차이를 정리하고, 마지막에는 카드를 겹쳐 상자 안에 조심스럽게 넣었다.
테이블 위의 두께가 다른 크레파스와 질감종이를 보며 거친 종이 위에 연한 분홍색 크레파스를 가볍게 그 어선이 울퉁불퉁하게 나타나는 모습을 바라보고, 같은 위치에 조금 더 힘을 주어 그리자선의 두께와 색이 진해지는 부분을 손가락으로 따라가며 비교하고, 옆에 다른 색을 겹쳐 그리자 두 색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장면을 눈으로 살펴보고, 종이를 살짝 기울이자 크레파스 색이 빛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부분을 관찰하며, 마지막에는 크레파스를 색별로 정리해 통에 넣었다.
몸을 자연스럽게 조절하며 이동하는 균형·신체협 응능력, 주스의 색 변화 정도를 순서대로 정확히 말하는 관찰·언어 순차 능력, 연결막대 활동에서 떨어진 부분을 바로잡고 친구가 필요한 조각을 건네는 협력적 상호작용 능력, 크레파스와 종이 질감의 변화를 세밀히 바라보는 감각·표현 탐색 능력, 지푸라기와 점토 구슬의 무게·움직임·표면 차이를 비교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안정적으로 나타난다.
책상 위의 '구름이 점점 흐려지는 그림 카드'를 바라보며 첫 번째 카드에서 뚜렷한 구름 모양을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두 번째 카드에서 구름이 조금 연해진 모습을 보며 "여기 흐려졌어"라고 말하고, 세 번째 카드에서 거의 사라진 구름 그림을 보며 손을 가볍게 흔들어 "이렇게 없어져"라고 표현하며 변화를 설명하고, 세장의 카드를 순서대로 바닥에 놓고 "있고, 흐려지고, 거의 없어져"라고 차이를 말하고, 마지막에는 카드를 겹쳐 상자에 정리했다.
책상 위에 놓인 '얼룩이 흐려지는 그림 카드'를 바라보며 첫 번째 카드에서 진한 얼룩을 손가락으로 짚고, 두 번째 카드에서 얼룩이 연해진 모습을 보며 "여기 조금 없어졌어"라고 말하고, 세 번째 카드에서 거의 보이지 않는 얼룩을 보자 손바닥을 펼쳐"이제 거의 안보여"라고 설명하며, 세장의 카드를 바닥에 순서대로 놓으며 "진하고, 옅고, 거의 없어"라고 변화를 정리하고, 마지막에는 카드를 겹쳐 정리함에 넣었다.
책상 위에 놓인 '얼음조각이 녹아가는 순서카드'를 바라보며 첫 번째 카드에서 단단한 얼음을 손가락으로 톡톡 두드리고, 두 번째 카드에서 얼음이 반쯤 녹아 물이 고인 모습을 보며 "여기 물 생겼어"라고 말하고, 세 번째 카드에서 거의 사라진 얼음을 보자 손을 흔들며 "이제 거의 없어"라고 표현하고, 세장의 카드를 바닥에 나란히 놓고 "단단하고, 조금 녹고, 거의 없어졌어"라고 변화 과정을 말로 정리하고, 마지막에는 카드를 조심스럽게 겹쳐 정리상자에 넣었다.
점보드판의 방향과 간격을 스스로 조절해 이동하는 균형·신체협 응능력, 솜방울의 젖어가는 정도를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관찰·언어능력, 육각 타일을 정확히 맞추고 또래의 활동에 자연스럽게 참여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스펀지롤러의 압력·방향·색 변화에 따른 다양한 표현을 탐색하는 예술감각 능력, 해조류·유리구슬의 움직임·빛·질감 차이를 비교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안정적으로 나타난다.
책상 위의 '우유가 식으면서 생기는 김 변화 카드' 세 장을 바라보며 첫 번째 카드에서 컵윗 부분에 김이 가득한 모습을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두 번째 카드에서 김이 줄어 윗부분이 조금 비어 있는 장면을 보며 "여기 없어졌어"라고 말하고, 세 번째 카드에서 김이 거의 사라진 모습을 보자 손을 위아래로 흔들며 "이 제 안보여"라고 표현하고, 카드를 바닥에 순서대로 펼쳐"많았고, 줄고, 거의 없어졌어"라고 정리하고, 마지막에 카드를 겹쳐 상자에 넣었다.
스티커와 색연필을 활용해 모양의 의미를 확장해보는 과정에서는 시각적 구성·창의적 표현 능력이 돋보이고, 모래와 자갈의 움직임 차이를 비교하는 모습에서는 관찰·탐색 중심의 과학적 사고 가꾸준히 자라나고 있다.
책상 위에 놓인 '물체가 바람에 움직이는 그림 카드'를 하나씩 바라보며 첫 번째 카드에서 종잇조각이 바닥에 놓여 있는 모습을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두 번째 카드에서 바람이 불어 종잇조각이 살짝 들린 장면을 보며 "여기 떠올라"라고 말하고, 세 번째 카드에서 종잇조각이 더 멀리 날아간 그림을 보며 손을 앞으로 뻗어 "이렇게 가"라고 표현하며, 세 장을 바닥에 나란히 두고 "여기 있고, 들리고, 멀리 갔어"라고 변화 흐름을 말하고, 마지막에는 카드를 차곡차곡 겹쳐 상자에 넣었다.
반원패드의 간격과 방향을 고려하여 몸을 조절하며 이동하는 균형·신체 조절 능력, 바람에 따라 물체가 움직이는 변화를 순서대로 말하는 언어적 조직능력, 뒤집힌 받침판을 바로잡아 또래 활동이 이어지도록 돕는 협력적 상호작용, 색 번짐의 정도와 변화하는 모양에 주목하는 감각적·시각적 탐색, 깃털과 금속 구슬의 무게·움직임 차이를 비교해보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고르게 나타난다.
또래 두 명이 여러 개의 직사각형 패턴 조각을 이어 큰 직사각형판을 만드는 놀이를 하는 모습을 지켜보다가, 조각 하나가 살짝 잘못 끼워져 틈이 생기자 손가락으로 눌러 모양을 맞춰주며 "여기 이렇게"라고 말하고, 또래가 다음 조각을 찾으며 둘러보자 바닥에 있던 조각을 주워 건네며 자연스럽게 참여하고, 판이 길어지며 한쪽 모서리가 들릴 때 손바닥으로 살며시 눌러 안정되도록 도와주고, 마지막에는 조각들을 모양별로 나누어 상자에 넣으며 친구들과 정리를 함께 하였다.
신체를 조절해 이동하는 균형·기초협 응능력, 씨앗의 성장단계를 순서대로 정확히 말하는 언어적 순서화 능력, 패턴 조각을 맞추고 흔들림을 막아주며 친구와 자연스럽게 협력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 실크종이의 겹침과 색혼합을 세밀히 탐색하는 시각적 감각·예술 탐색 능력, 빨대와 솜구슬의 움직임 차이를 비교하며 관찰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고르게 나타난다.
신체의 방향과 중심을 자연스럽게 조절하며 이동하는 균형·조절 능력, 비누방울 크기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설명하는 언어적 순서 이해 능력, 토이링이 끊어지지 않도록 연결을 도와 친구활동을 이어주는 협력적 상호작용, 색종이의 겹침과 빛의 변화를 세밀하게 관찰하는 감각·예술 탐색 능력, 스펀지와 구슬의 운동 속도·무게 차이를 자연스럽게 비교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고르게 나타난다.
투명 용기 안에 담긴 작은 콩 모양 구슬과 넓적한 종이 조각을 접시에 올려놓고, 구슬을 손가락으로 밀자굴러가는 속도가 빠르게 변하는 모습을 살펴보고, 종이 조각을 밀자 구슬보다 훨씬 느리게 미끄러지는 차이를 비교하고, 접시를 조금 기울이자 구슬은 아래로 빠르게 이동하고 종이 조각은 천천히 따라오는 모습을 관찰하고, 빛을 향해 접시를 들어 올리자 종이 조각의 가장자리가 빛을 받아 반투명하게 보이는 부분을 들여다보며, 마지막에는 구슬과 종이를 섞이지 않게 용기로 다시 담았다.
신체의 방향을 조절하고 균형을 유지하는 기초 신체조절 능력, 양초의 길이 변화를 정확히 구분해 말하는 언어적 순차 이해 능력, 나무링 구조가 무너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잡아주며 또래 활동을 돕는 사회적 협력 태도, 색 모래의 움직임과 패턴 변화를 세밀히 보는 감각·예술 탐색 능력, 구슬과 종이조각의 움직임 차이를 비교하는 기초과학탐구 능력이 고르게 나타난다.
향후 계획으로는 다양한 선·칸·모양을 따라 이동해보는 신체활동을 제공하고, 변화의 정도를 말로 더 세밀히 표현할 수 있는 순서화 언어놀이를 지원하며, 재료의 질감·무게·모양에 따른 움직임 변화를 탐구할 수 있는 자연·감각 활동을 확장할 예정이다.
지그재그라인의 꺾임과 폭을 조절해 이동하는 신체협 응·균형능력, 그림자의 변화 정도를 자연스럽게 언어로 표현하는 관찰·언어능력, 육각형 보드조각이 흔들리지 않도록 조심히 맞추고 친구에게 필요한 조각을 찾아주는 협력적 사회성, 홀로그램 종이의 빛 반사 변화를 세밀히 관찰하는 시각·감각 탐색 능력, 나무 조각과 플라스틱 스틱의 이동 속도·표면 차이를 비교하는 초기 과학적 탐구 태도가 균형 있게 나타난다.
몸을 자연스럽게 조절하며 이동하는 균형·신체협 응능력, 주스의 색 변화 정도를 순서대로 정확히 말하는 관찰·언어 순차 능력, 연결막대 활동에서 떨어진 부분을 바로잡고 친구가 필요한 조각을 건네는 협력적 상호작용 능력, 크레파스와 종이 질감의 변화를 세밀히 바라보는 감각·표현 탐색 능력, 지푸라기와 점토 구슬의 무게·움직임·표면 차이를 비교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안정적으로 나타난다.
간격 변화에 맞추어 점프·이동하며 신체를 조절하는 균형·협응능력, 거품이 사라지는 정도를 정확히 구분해 언어로 표현하는 관찰·의사소통 능력, 블록타워가 흔들릴 때 자연스럽게 지지·정리하며 친구와 협력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스포이트 물감의 번짐·혼합·흐름 변화를 세밀하게 관찰하는 감각·예술 탐색 능력, 금속·천의 무게·속도·빛투과 차이를 비교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균형 있게 드러난다.
간격과 방향을 스스로 파악해 발걸음을 조절하는 신체협 응·균형능력, 구름의 변화 정도를 순차적으로 언어화하는 관찰·언어능력, 타일 조각을 맞추고 흔들리는 부분을 지지하며 또래 활동에 자연스럽게 참여하는 사회적 협력 능력, 색연필의 압력·겹침에 따른 선의 변화를 섬세하게 관찰하는 감각·예술 탐색 능력, 나무 막대와 고무공의 움직임·재질 차이를 비교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고르게 드러난다.
신체 움직임을 조절하는 균형·신체협 응능력, 얼룩의 변화 정도를 차례대로 말하는 관찰·언어능력, 삼각기둥 블록 구조를 안정시키며 필요한 부분을 도와주는 협력적 상호작용, 점묘 스탬프의 색·압력 변화에 따른 패턴을 세밀히 탐색하는 감각·예술이해 능력, 플라스틱 막대·돌멩이의 움직임·질감 차이를 비교하는 기초과학탐구 능력이 균형 있게 나타난다.
모양과 간격을 스스로 파악해 이동하는 균형·신체 조절 능력, 얼음이 녹는 변화 과정을 순서 있게 설명하는 관찰·언어능력, 퍼즐 조각을 자연스럽게 맞추고 또래 활동에 참여하며 협력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젤 크레용의 질감·광택·겹침 변화를 세밀하게 탐색하는 감각·예술탐구 능력, 코르크·금속와셔의 움직임·무게·표면 결 차이를 비교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고르게 관찰된다.
향후 계획으로는 다양한 질감과 빛 변화에 반응하는 재료를 활용한 탐색활동을 확장하고, 관찰한 변화를 말로 표현할 수 있는 언어 활동을 강화하며, 또래와 협력해 문제를 해결하는 구조·퍼즐 활동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사회성과 탐구 태도를 함께 발달시키고자 한다.
사각매트의 간격·방향을 눈으로 파악하며 이동하는 몸 조절·균형능력, 단풍잎의 색 변화 정도를 순서대로 설명하는 관찰·언어능력, 나무링의 중심을 잡아주고 또래에게 필요한 재료를 건네며 참여하는 사회적 협력 능력, 오일파스텔의 굵기·압력·겹침에 따라 달라지는 질감을 탐색하는 예술감각 능력, 펠트·자갈의 움직임과 표면차이를 비교하는 기초자연탐구 능력이 안정적으로 나타난다.
간격과 방향을 고려해 이동하며 균형을 조절하는 신체협 응능력, 버블의 변화 단계를 순서대로 말하는 관찰·언어능력, 또래의 구조물을 도와주고 필요한 조각을 건네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메탈릭 마카의 빛 반사·겹침 변화를 섬세하게 탐색하는 예술감각 능력, 마른 잎과 자석 조각의 질감·움직임·반응 차이를 비교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안정적으로 나타난다.
향후 계획으로는 구도·방향을 탐색하는 신체활동을 늘려 균형감각을 확장하고, 빛·질감·자성 등 다양한 자연특성을 탐구할 수 있는 활동을 제공하며, 또래와 함께 구성물을 만들고 해결하는 협력놀이를 통해 사회성과 탐구능력을 고르게 강화하고자 한다.
점보드판의 방향과 간격을 스스로 조절해 이동하는 균형·신체협 응능력, 솜방울의 젖어가는 정도를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관찰·언어능력, 육각 타일을 정확히 맞추고 또래의 활동에 자연스럽게 참여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스펀지롤러의 압력·방향·색 변화에 따른 다양한 표현을 탐색하는 예술감각 능력, 해조류·유리구슬의 움직임·빛·질감 차이를 비교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안정적으로 나타난다.
네모 표식의 배열과 간격에 맞춰 몸의 방향과 균형을 조절하는 신체협 응능력, 거품의 변화를 단계적으로 관찰하고 언어로 표현하는 의사소통·관찰 능력, 핀을 바로잡고 또래에게 필요한 재료를 건네며 자연스럽게 협력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스탬프의 압력·색의 조합·패턴 변화를 탐색하는 예술표현 능력, 스펀지·우드볼의 질감·흐름·빛 반응 차이를 비교하는 기초탐구 태도가 안정적으로 나타난다.
테이블 위에 놓인 '색이 흐려지는 찻물 그림 카드'를 바라보며 첫 번째 카드에서 진한 갈색 물을 손가락으로 짚고, 두 번째 카드에서 색이 옅어져 중간 정도로 변한 부분을 보며 "여기 연해졌어"라고 말하고, 세 번째 카드에서 거의 밝은 빛만 남은 찻물을 보며 손을 펼쳐"이제 거의 없어"라고 표현하며, 세장의 카드를 바닥에 순서대로 늘어놓고 "짙고, 조금, 거의 없어졌어"라고 변화를 차례로 설명하고, 마지막에는 카드를 모아 조심스레 상자에 넣었다.
별 모양 패드의 배열과 간격을 보고 이동하며 중심을 조절하는 신체 균형·조절 능력, 찻물의 색 변화 단계를 언어로 차례대로 표현하는 관찰·언어능력, 블록 구조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돕고 필요한 재료를 건네는 협력적 사회성, 색연필의 압력·각도·겹침에 따른 질감 변화를 탐색하는 예술감각 능력, 솜과 금속 너트의 무게·움직임·표면 차이를 비교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안정적으로 나타난다.
책상 위의 '레몬즙이 점점 옅어지는 카드' 세 장을 바라보며 첫 번째 카드에서 짙은 노란색 레몬물을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두 번째 카드에서 색이 연해져 중간 정도가 된 모습을 보며 "여기 색이 줄었어"라고 말하고, 세 번째 카드에서 거의 연 노랑이 된 레몬즙을 보며 손바닥을 펼쳐"이제 거의 없어"라고 표현하며, 카드를 바닥에 순서대로 벌려놓고 "진하고, 줄고, 거의 없어졌어"라고 변화 단계를 설명하고, 마지막에는 카드를 겹쳐 천천히 상자에 넣었다.
숫자원판의 간격·방향을 스스로 파악해 이동하는 신체협 응·균형능력, 레몬즙 색 변화를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관찰·표현 능력, 자석블록 활동에서 필요한 부분을 도와 안정시켜주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분필의 가루·압력·겹침에 따른 질감 변화를 세밀히 탐색하는 예술감각 능력, 나뭇가지와 금속클립의 움직임·재질·무게 차이를 비교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고르게 나타난다.
향후 계획으로는 숫자·패턴·방향성을 탐색하는 신체활동을 확대하고, 분필·가루·질감 등 다양한 재료 특성을 경험하는 예술놀이를 확장하며, 자기장과 재질 반응을 탐구할 수 있는 활동을 제공해 언어 표현력과 탐구력을 계속 발달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물결라인의 변화에 따라 몸의 방향과 균형을 자연스럽게 조절하는 신체협 응·균형능력, 얼음물의 반사·탁함·맑음의 변화를 언어로 순서 있게 설명하는 관찰·표현 능력, 삼각보드조각을 맞추고 친구 활동에 자연스럽게 참여하는 사회적 협력 능력, 젤스틱의 번짐·겹침·빛 반응을 세밀히 탐색하는 예술감각 능력, 면사와 금속 구슬의 속도·재질·빛 반응 차이를 비교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안정적으로 나타난다.
향후 계획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선과 곡선을 따라 이동하는 신체 놀이를 확장하고, 빛과 색의 변화에 주목하는 미술활동을 제공하며, 재료의 성질을 비교·설명하는 탐구 경험을 넓혀 탐색력과 언어능력을 함께 강화하고자 한다.
길이·방향이 다른 선을 따라 이동하며 균형과 보폭을 자연스럽게 조절하는 신체협 응능력, 우유의 김변화 정도를 단계별로 정확히 말하는 관찰·언어능력, 나무 조각과 고리 구조가 안정되도록 돕고 재료를 찾아주는 협력적 사회성, 젤스티커의 빛·압력·겹침 변화에 주목하는 예술감각 능력, 종이·아크릴의 움직임·촉감·빛 반응 차이를 비교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안정적으로 나타난다.
모양·크기가 다른 표식을 따라 이동하며 방향과 보폭을 조절하는 신체협 응능력, 아이스크림이 녹는 변화를 단계적으로 관찰하고 언어로 표현하는 관찰·언어능력, 끈과 블록 활동에서 또래가 어려워하는 부분을 자연스럽게 도와주며 함께 해결하는 사회적 협력 능력, 물감의 농도·붓의 각도·광택 변화를 섬세하게 탐색하는 예술감각 능력, 헝겊·플라스틱 큐브의 움직임·질감·빛 반응 차이를 비교하는 기초과학탐구 태도가 안정적으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