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관리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몇 단계의 과정을 거치는데 대부분 개입과정, 사정과정, 계획과정, 중재과정, 종결과정, 평가과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들은 클라이언트와 접촉하면서 동시에 일어나는 것이지 단계별로 하나의 과정을 마무리하고 다른 과정을 시작하는 일린의 획일적인 과정은 아니다. 사례관리 실천은 서비스와 자원들을 이용하고 접근하는 데 가능한 한 클라이언트 자신의 생활기술을 증진시키도록 해야 하며, 클라이언트의 복지와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적 망과 관련된 대인복지 서비스 제공자들의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가능한 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서비스 및 지원이 전달되도록 서비스의 효과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그러한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의 개별화로서 이것은 클라이언트의 독특한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상황에 따라 각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맞게 서비스가 주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서비스 제공의 포괄성으로서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지역사회에서 기능하는 데 필요한 광범위한 지지를 연결하고 조정, 점검하는 것이다.
셋째, 클라이언트의 자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으로서 클라이언트의 선택 자유를 최대화하고 지나친 보호를 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넷째, 보호의 지속성으로서 서비스의 지속성은 사례관리자가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점검하여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한다는 것이다.
단 1회에 그칠 것이 아니라 생활현장에서 잘 적응하도록 지속적인 원조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섯째, 서비스의 연계성으로서 복잡하고 분리되어 있는 서비스 전달체계를 연결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례관리의 단계는 학자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고 있는데 과정별로 정의를 살펴보면, 밍크와 블류(Mink & Ballew)는 계약, 사정, 계획, 자원사정, 조정, 해약 등 여섯 단계로 구분하면서 사정을 강조한 반면, 로스만(Rothman)은 기관에의 접근(사례발견, 의뢰), 인테이크(심리, 사회, 의료적 문제 사정), 목표설정(장 ․ 단기), 계획수립(자원 확인 목록작성), 연결, 점검, 재사정, 결과평가 등 8단계로 구분하면서 지역사회 중심의 서비스 제공에 대한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목슬레이(Xoxely)는 클라이언트의 문제 해결에 관계되는 사회적 지지체계의 기능, 즉 직접 서비스의 기능과 간접 서비스의 기능을 보다 명확히 제시하여 줄 수 있는 사례관리 과정을 사정, 계획, 개입, 점검, 평가과정으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스테인버그와 카터(Steinberg & Carter, 1983)는 가입(사례발견, 사전적격심사, 접수), 사정, 목표설정(서비스기획, 능력조성), 보호계획의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