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를 이용한 경제교육

1. 민요를 이용한 경제교육.pptx
2. 민요를 이용한 경제교육.pdf
민요를 이용한 경제교육
민요를 이용한 경제교육
1. 왜 민요를 이용한 경제 교육인가
민요 : 농업과 어업 등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집단으로 제례(祭禮)나 노동을 할 때 부르기 시작한 노래

-] 특정한 창작자가 없이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민중
의 생활감정을 소박하게 반영
※ 국민성 + 민족성을 나타낸다.

-] 어버이에게서 자식으로, 자식에게서 손자로 전승
※ 그만큼 더 친숙하고 쉽게 다가온다.
2-1 절약의 역설이란
3-1 ‘절약의 역설’ 관련 민요

와와 덜이여
※ 경제적 의미 부여

☞ 와와 덜이여는 여럿이 모여 도리깨로 보리타작을 하며 부르는 민요이다. 양반과 머슴 서로 말을 주고 받는 선후창 형식으로 되어있다. 하루 종일 보리타작을 하고 잠자리에 누우면 아프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로 고되었다고 한다. 배고프고 힘들어서 도저히 못 하겠다는 머슴에게 양반은 그 말할 기운에 한번이라도 더 두드려 보라고 말하고 있다. 머슴은 양반의 재산이라 할 수 있다. 머슴이 오랫동안 건강하게 살아 남아야 양반이 가져올 수 있는 이득도 훨씬 많아 지는 법이다. 장기간 굶주림 속에서 고역에 시달리는 머슴의 건강과 수명은 결국 악화되고 줄어 들 수 밖에 없다. 머슴에게 주어지는 휴식시간과 새참을 재화라고 한다면, 양반은 그 재화를 무작정 저축하려는 (아끼려는)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 재화를 저축하는 태도로 말미암아 그 스스로 손해의 늪으로 빠져들어 가고 있는 셈이다.
4-1 ‘절약의 역설’ 생활 속 경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