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신화(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연구

1. 금오신화(만복사저포기,_이생규장전)_.hwp
2. 금오신화(만복사저포기,_이생규장전)_.pdf
금오신화(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Ⅰ. 서론

Ⅱ. 발생 배경과 서사적, 유형적 특징
1. 金鰲神話의 발생 배경
1.1 내재적 연원
1.1.1. 민간 설화 등 민속적 사유 및 신앙(하층적 연원)
1.1.2 전시대 한문학의 전통(상층적 연원)
1.1.3 정신사적 배경
2. 외재적 연원
2.1 萬福寺樗蒲記
2.2 李生窺牆傳

Ⅲ. 문학사적 의의

Ⅳ. 교육적 활용 방안

Ⅴ. 결론

Ⅵ. 참고 문헌
1.1.1. 민간 설화 등 민속적 사유 및 신앙(하층적 연원)
가. 『금오신화』 성립의 내재적 연원은 우리나라 민간에 전래되어 온 각종 설화(원귀 설화, 용과 관련된 설화, 동명왕 신화) 등을 들곤 한다. 이러한 지적은 『금오신화』와 우리나라 민간설화 사이의 관련, 다시 말해 『금오신화』가 ‘민속적’ 사유와 신앙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나려시대 전기소설의 전통이 계승․발전 되는 과정에 『금오신화』가 창작되어 한국 전기소설의 질적 비약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나.
금오신화, 김시습, 매월당,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金容德, 萬福寺樗蒲記 硏究, 한국학논총, 한양대학교한국학연구소, 1982.
김용덕, 朝鮮傳記 小說 硏究, 漢陽大學校, 1986.
金鉉龍, 「李生窺墻傳」과 鄭顯組 奴女 설화, 건국어문학, 건국대국어국문학연구회, 1985.
박희병, 󰡔韓國傳奇小說의 美學󰡕, 돌베개, 1997.
禹玉子,「金鰲新話」현장 敎育的 方案 硏究, 仁川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田溶午, “이생규장전의 비교문학적 고찰” 배재대학교, 1996.
鄭學成, 한국문학 연구 입문, 서울 : 지식산업사, 1982.
陳武鉉, 李生窺墻傳의 原型批評的 接近攷, 국어국문학, 동아대국어국문학과, 1983.
崔來沃, 韓國口碑傳說의 硏究, 一潮閣, 1981.
최명관(역), 캇시터 著, 인간이란 무엇인가. 훈복문화사. 1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