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鰲新話>는 金時習(1435~1493년)이 경주의 금오산에 칩거하고 있을 때였던 1465~1470년(세조12년~성종 원년) 사이에 씌어진 소설이다. 현재 전해지고 있는 <萬福寺樗蒲記> <李生窺牆傳> <醉游浮碧亭記> <南炎浮洲志> <龍宮赴宴錄> 외에 전편이 모두 몇편이나 되는지 알 수 없다. 전해지는 다섯편의 작품은 전기소설의 특질이라고 할 수 있는 환상과 현실이라는 두 개의 이야기축을 갖추고 있다. 다섯 편의 이야기는 모두 神異談으로서 현실과 초월의 세계가 교직되는 서사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前代의 설화를 제재로 삼아 소설화시키고 있지만, 설화에 비해 인간의 내면성에 대한 진지한 탐구와 좌절과 고독과 죽음 등 인간의 세계내 상황에 대한 반성적 인식이 깃들어 있으며, 그것을 매개로 한 현실 반영이 그것이다.
人鬼交換說話의 범주에 속하는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은 이생에서는 이룰 수 없는 귀신과의 사랑을 현실에서 성취하며 죽음을 통해 저승으로까지 이어가기도 한다. 神仙說話인 <취유부벽정기>는 天上仙女와의 허무하고도 황홀한 하룻밤을 보낸 洪生이초월의 세계를 그리워하다가 마침내 죽음으로부터 해탈한다는 내용이다. 地獄說話인 <남염부주지>는 현실에 불만을 품고 있던 朴生이라는 선비가 남염부주의 염라왕과 만나 종교와 귀신, 政事에 대한 토론을 벌이는 이야기로서, 박생은 죽은 뒤 남염부주의 염라왕이 된다. 龍宮說話인 <용궁부연록>은 文士로 이름이 높은 韓生이 용궁에 초대되어 3명의 神과 함께 詩才를 겨루며 풍류를 즐기다가 다시 현실로 돌아오지만, 그것이 꿈이 아니었음을 깨닫고는 부귀와 명예를 버리고 산으로 들어갔다는 내용이다.
....
[국문학] 이생규장전 작품론[작품분석] 이생규장전 작품론
소설 「이생규장전」
현재 국립국악원에서 ‘영원한 사랑’이라는 정가극으로 리메이크되기도 한 「이생규장전」은 애절한 사랑이야기가 담긴 고전에 대해 이야기를 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이야..
[국문학] 김시습의 삶과 한시 김시습의 삶과 한시
Ⅰ. 머리말
- 김시습이라는 인물에 대해 묻는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가 행한 몇 가지 기행과 소설 《금오신화》를 이야기할 뿐이다. 하지만 그가 살았던 시대는 결코 한두 줄로 요약할 수 ..
고전소설 소설의 기원, 고전소설 시대의 소설관, 소설의 본질
[목차]
Ⅰ. 소설의 기원
1. 소설사의 기원 추적
2. 고전소설의 효시와 그 시기
3. 고전소설 형성의 양상과 갈래
4. 소설의 기원을 어디까지 소급할 수 있..
[국문학] 김시습의 금오신화(金鰲神話)와 문학관에 관해서 [국문학] 김시습의 금오신화(金鰲神話)와 문학관에 관해서
목 차
1. 금오신화(金鰲神話)에 대하여
2. 금오신화(金鰲神話)의 특징 및 의의
3. 김시습의 문학관
1. 금오신화(金鰲神話)에 대하여
김시습이 경주의..
김시습 <금오신화> 연구 김시습 <금오신화>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Ⅰ.머리말
Ⅱ. 본문
1. 취유부벽정기
1.1유형적 특징
1.2 등장인물 및 작..
동양문학의 이해-금오신화에 대해서 아름다운 시와 비극적 결말의 이야기
김시습, 최치원(무덤 속 두 자매와의 이야기) 저, 조면희 역,『금오신화 外』, 현암사 ; 2010
학창 시절『금오신화』하면 떠오르는 생각은 한국 최초의 한문소설, 어렸을 적..
금오신화_해설_및_풀이 금오신화 해설 및 풀이
* 출처 : http://myhome.hananet.net/~dyyoon
금오신화의 수록작품
①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
②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③ 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
④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
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