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정비계획법_문제점_개선방안_시사점_제도개선_정의_도시계획제도_1P요약

1. 153_수도권정비계획법_문제점_개선방안.hwp
2. 153_수도권정비계획법_문제점_개선방안.pdf
수도권정비계획법_문제점_개선방안_시사점_제도개선_정의_도시계획제도_1P요약
수도권정비계획법

1. 서 론
○ 배경 및 개요
◦수도권 정비계획은 우리나라의 국토공간계획 체계상 “지역계획”에 해당하는 계획으로 수도권(서울,경기도, 인천)의 인구․산업의 집중방지, 국제경쟁력 강화 등을 목적으로 수립하는 계획이다.
◦우리나라는 산업화 기간 동안 고도의 압축 성장을 이루는 과정에서 국가적 투자가 특정지역에 편중된 관계로 지역간 불균형발전이 초래되었고, 특히 수도권의 인구 및 산업집중이 매우 심화되었다.
◦수도권의 대한 인구와 산업의 집중 해소를 위하여 수도권에 대한 각종 규제정책이 추진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집중현상은 오히려 더욱 심화되는 실정이어서 수도권의 계획적 관리를 위한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다음에서는 우리나라 수도권 정비계획의 변천 및 제3차 수도권 정비계획의 주요내용과 문제점 및 향후 발전방안을 논의해 보기로 하겠다.

2. 주요내용 및 변천
① 수도권 정비계획 변천사
◦수도권정책의 효시는 서울시의 인구관리를 목표로 한 “대도시인구집중방지책(1964)”이며, 이후 “수도권재배치계획(1977)” 등의 정책이 수립되었다.
◦본격적인 수도권정비계획은 1982년 「수도권정비계획법」의 제정에 의하여 시행되었다.
◦1차계획(1982~1996)은 수도권의 집중억제를 목표로 이전촉진권역 등(제한정비권역, 자연보전권역, 개발유보권, 개발유도 권역)의 5대 권역을 설정하고, 인구집중유발시설의 입지제한 및 개발사업의 시행 제한 등 철저하게 규제중심으로 정책을 시행하였다.
◦2차계획(1997~2011)은 1994년 규제완화를 목적으로「수도권정비계획법」이 전면 개정되면서 이루어졌으며, 기존의 5개 권역에서 3개 권역(과밀억제권역, 성장관리권역, 자연보전권역)으로 통합·조정되었다. 또한 중소기업공장에 대한 규제완화장치인 공장건축총량제와 대형건축물에 대한 간접적인 규제방식으로서 과밀부담금 제도가 도입되었다.
....
수도권정비계획법, 문제점, 개선방안, 시사점, 제도개선, 정의, 도시계획제도, 1P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