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진건 <적도> 연구

1. 현진건 (적도) 연구.hwp
2. 현진건 (적도) 연구.pdf
현진건 <적도>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Ⅰ.들어가며.

Ⅱ.1. 문학사적 흐름 속의 적도.
Ⅱ.2. 현진건의 생애와 작품경향
Ⅱ.3. <적도>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유형분석.
Ⅱ.3.1. 개화기의 허상적 인간상: 박병일, 원석호
Ⅱ.3.2. 이상적 인간형: 열정의 행동형-김여해
Ⅱ.3.3. 식민지 시대의 개혁론자: 독립운동자-김상열
Ⅱ.3.4. 여성의 희생-홍영애, 명화

Ⅲ. 결론

<참고문헌>
Ⅰ.들어가며.
<적도>는 1933년 12월 2일부터 1934년 6월 16일까지 『동아일보』에 연재된 현진건(1900~1943)의 장편소설이다. 현진건의 최초 장편소설이긴 하지만 최근까지 단순히 통속소설로 취급되어 특별한 관심을 얻지 못 하였다. 그러나 최근 통속소설의 틀 속에서 민족정신을 드러낸 작품이라는 새로운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문학사적 흐름 속에서 현진건의 생애와 문학경향을 살펴보고, <적도>에 나타난 인물분석을 통해 이 작품의 가치를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1. 문학사적 흐름 속의 적도.
빙허 현진건은 염상섭, 나도향, 김동인, 전영택, 최서해등과 더불어 1920년대의 소설문학의 한 흐름을 형성하였다. 그들이 주로 활동하던 1920년대는 우리 근대민족문학이 그 이전의 단계와는 다른 새로운 발전을 하는 기간이다. 이전의 근대 문학은 근대적인 성숙의 개성에 의해 뒷받침된 것이기보다는 전근대적인 속박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최소한의 지향으로 충만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이르러 3․1운동이라는 대중적 역사체험과 사회분화에 의해서 개개인들은 한층 성숙한 개성적 의식을 가지기 시작하였으며, 그것은 전 시기의 고립적이고 비정치적인 성향을 넘어서서 자신이 몸담고 있는 사회적 환경과 자신이 맺고있는 내적 연관성을 한층 두드러지게 인식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일부는 개성의 발견에 초점을 맞추면서 그러한 개성을 사회적 배경과의 관련하에서 그려내었다.
현진건, 적도, 현대소설, 문학, 소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5, 지식산업사, 1994
김재용외, 『한국근대민족문학사』, 한길사, 1993
장석주, 『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 시공사, 2000
최시한, 「현진건의 현실의식과 기법」, 문학과 비평, 1987
한경아, 「현진건 소설의 반어 연구」, 영남대 교육대학원, 2000
변정선, 「현진건 소설 연구」, 세종대 대학원 석사논문, 1990
심명섭, 「<삼대>와 <적도>의 작중인물 연구」, 대구대 대학원 석사논문, 1984
한상무, 「저항의 정신과 위장의 방법」, 강원대학연구논문집8, 1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