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임금의 지급사유로는 연장/야간/휴일근로가 있다. 이때 연장근로등에 대한 가산임금은 그 연장근로등이 적법한지 여부와 관계없이 지급되어야 하며, 가산임금을 지급하였다고 하여 법률적 제한을 위반한 연장근로 등이 적법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2. 연장근로
1) 연장근로의 의의
연장근로시간이란 기준근로시간을 초과하는 실근로시간을 말한다. 따라서 소정근로시간은 초과하지만 기준근로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초과근로의 경우에는 가산임금을 지급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특정일 또는 특정주의 기준근로시간중 어느 하나만 초과하여도 연장근로가 된다.
2) 지급대상이 되는 경우
i) 합의연장근로 ii) 인가연장근로 iii) 업종별 연장근로 iv) 연소근로자의 연장근로의 경우에는 모두 가산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또한 연장근로의 요건을 갖추지 못한 불법연장근로의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벌칙이 적용됨은 별론으로 하고, 사용자는 가산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3) 지급되지 않는 경우
① 변형근로시간제의 경우
....
가산임금 가산임금
Ⅰ. 서
Ⅱ. 가산임금의 지급사유
1. 의의
2. 연장근로
1) 지급되는 경우
2) 지급되지 않는 경우
3. 야간근로
1) 의의
2) 연소자와 임산부
3) 근기법 제61조상의 특수근로자
4. 휴일근로
1) 지급..
근기법상 가산임금 지급 전반검토 가산임금 지급과 관련한 근로기준법상 쟁점 검토
Ⅰ. 들어가며
가산임금이란 근로자의 기준근로시간을 초과한 근로에 대하여 통상임금에 일정금액을 가산하여 지급하는 임금을 말한다. 이는 근로자의 건강과 문화..
근로기준법상 가산임금 연구1 가산임금에 대한 연구 (근로기준법)
Ⅰ. 들어가며
1. 의의
가산임금이란 연장근로, 야간근로, 또는 휴일근로에 대하여 통상임금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지급하는 임금을 말한다.
2. 논점
가산임금은 기준근로시..
시간외 근로와 시간외 근로수당 근기법상 시간외 근로와 시간외 근로수당(가산임금)에 대한 검토
Ⅰ. 서설
1. 의의
가산임금제란 기준근로시간을 초과하는 연장근로와 야간/휴일근로에 대하여 통상임금의 일정률을 가산하여 지급하는 제도를 말..
근로기준법상 휴일의 대체 및 휴일근로의 가산금 관련 판례 동향 근로기준법상 휴일의 대체 및 휴일근로의 가산금 관련 판례 동향
1. 가산금
1) 가산금의 적용대상, 휴가일근로
“근기법 제56조가 정하는 할증임금지급제도와 연월차휴가제도는 그 취지가 상이한 제도이고, 각 ..
시간외 근로와 시간외 근로수당 및 포괄 임금 산정제도에 대하여 시간외근로와 시간외근로수당 및 포괄임금산정제도에 대하여
I. 서
I. 의의
시간외근로라 함은 근로기준법에 정해진 기준근로사긴 이외의 시간에 근로를 하는 것을 말하고, 시간외근로수당이라 함은 근로자가 통..
연봉제 실시에 따른 가산임금 지급의 문제에 대하여 연봉제 실시와 가산임금 지급 문제의 법적 검토
Ⅰ. 현행법상 문제의 상황
현행 임금법제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는 보호법제중 하나는 근로시간제도이다. 즉 현행 임금법제는 근로시간과 임금의 일정한 관련..
근로기준법상 가산임금의 지급대상 및 지급액과 대체방법으로써 보상휴가제 근로기준법상 가산임금 제도
Ⅰ. 가산임금의 지급대상
1. 연장근로
1) 의의
연장근로란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한 부분을 의미한다.
2) 지급되는 경우
관련 규정은 근로기준법,ⅰ) 53조 1,2항 ⅱ) 53조3항: ..
통상임금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근기법상 통상임금에 대한 검토
Ⅰ. 들어가며
1. 의의
통상임금이란 근로자에 정기적, 일률적으로 소정근로, 총 근로에 대하여 지급하기로 정해진 시간급, 주급, 월급, 도급금액을 의미한다. 즉 이는 통상 근로일..
휴일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규율 전반 검토 근로기준법상 휴일 제도
Ⅰ. 들어가며
1. 의의
휴일은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명령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는 날로 처음부터 근로제공의무 없는 날이다. 이는 근로자가 주중 근로로 인한 피로회복으로 건강유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