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도는 그 동안의 고매하고 우아한 양반 그림과는 다르다.이 전시를 통해 서민들의 기복염원을 담기 위했던 무신도의 존재를 되새겨 보고자 한다. 민중의 현실적인 삶과 강한 구복성을 반영하는 무신도를 통해 이들이 지닌 서민의 미의식에 주목해 보고, 민족의 역사와 함께 하면서 민중과 가장 가까이에서 있었던 그림으로서 어떠한 현실 의식을 대변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겠다.
전시 방향
전시 방향
인간의 기복 행위에 따라…
1부 : 생산과 풍요-농업과 어업을 주로 하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력 발전과 풍요에 대한 열망이 반영
2부 : 수호-외부 상황의 위협에 신체적으로, 감정적으로 보호 받고 싶은 열망 반영
3부 : 건강과 장수-생명과 질병의 위기로부터 벗어나 심적 안정을 갈망하던 민중들의 소망 반영
4부 : 재물과 권력-궁핍한 현실에서 부귀영화라는 관념적인 이상을 구체적으로 표현
전시장 평면도
전시장 평면도
1. 풍요와 생산
2. 건강과 장수
3. 수호
4. 재물과 권력
휴식 공간
영상 전시실
체험관
전시장 평면도
전시 내용
무신도 특징
무신도의 특징
인간의 희로애락의 염원을 내포하고 있음
색채적 특징-음양오행에 따른 오방색 사용
색채간의 독립성을 위한 강렬한 원색간의 대비효과
관념적 중요도에 따른 크기 표현-사실적인 조형성 무시
인물의 개별적 특징보다 상징적인 직책 중시
-얼굴을 모두 비슷하게 묘사
1부 생산과 풍요
전시 내용(1부)
벼락장군신, 비단채색, 1900년대, 85x81cm, 개인소장
전시 내용(1부)
산마도령, 종이에 색, 97.5x73cm, 목아 박물관 소장
....
한국의 전통사상과 의료윤리 한국의 전통사상과 의료윤리
한국의 전통사상과 윤리에 대하여 의료윤리와 전통사상, 한국인의 전통심성, 한국의 전통사상들의 윤리관과 생명관, 현대한국인의 심성과 의료윤리로 구분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첫 ..
mu-3[1] 무(巫)와 기독교
I. 머리말
巫는 다른 외래종교보다 한국역사와 관련이 깊을 뿐만 아니라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巫의 과거는 그리 평탄치만은 않았다. 외래종교인 불교·유교 등에 의해서 미신 또는 요..
캐제만, 브라운, 에벨링의 역사적 예수 개념 캐제만, 브라운, 에벨링의 역사적 예수 개념
1. 캐제만 (Kasemann)에 있어서 역사적 예수 개념
1970년 튜빙겐의 신약학 원로 캐제만 (Kasemann)은 정경으로서의 신약성서 (Das Neue Testament als Kanon)라는 편..
문화제국주의와 민족문화2 문화제국주의와 민족문화
남의 문화를 중심으로 사물을 바라보는 태도를 타문화 중심주의 및 문화 사대주의라고 한다. 이것은 문화제국주의와 한 치 다를 바 없다. 이것은 타문화 중심주의적 안목에서 제것을 부..
문화제국주의와 민족문화 문화제국주의와 민족문화
남의 문화를 중심으로 사물을 바라보는 태도를 타문화 중심주의 및 문화 사대주의라고 한다. 이것은 문화제국주의와 한 치 다를 바 없다. 이것은 타문화 중심주의적 안목에서 제것을 부..
한국종교사에서의 증산교와 민간신앙의 만남
한국종교사에서의 증산교와 민간신앙의 만남
1. 머 리 말
한국종교사를 조망해 볼 때 다양한 사상과 믿음이 태동하여 전개되었다. 그들은 각기 고유한 흐름으로 유지되어 왔으며, 현재에도 독자적인 형태로 인..
불교사상과 신앙 1. 국가 불교적 면모
불교는 삼국의 국가체제가 정비될 무렵에 전래되어 왔다. 씨족사회 당시에 설립되었던 巫覡信仰이나 祖上崇拜 신앙만으로는 새로운 국가의 사회 생활을 이끌어갈 수 없었다. 그리하여 불교..
전통 불교사상의 자연관과 생태적 함의에 대해 설명 전통 불교사상의 자연관과 생태적 함의에 대해 설명
불교는 인도에서 태동되어 중국을 거쳐 한국과 일본으로 전파
됨으로써 동아시아문명 조성에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 인도의
불교는 네 단계로 전개되었다...
근대의 불교운동
근대의 불교운동
윙치찬
현대의 중국 불교는 외면적인 관칠자에게는 미신, 주술, 우상숭배와 같은 추악한 모습으로 비쳐 보였음에 틀림없다. 수백 년 동안 중요한 경전이나 주석서가 쓰여진 것은 하나도 없다..
신앙의 발달 단계 (1981) 제임스 W 파울러 신앙의 발달 단계 (1981) 제임스 W. 파울러
에모리 대학의 신앙 발달 센터 소장인 제임스 파울러 교수는 보스턴 대학을 졸업하고 하버드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저서인 「신앙의 발달단계」는 종교(re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