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一般私法(상법은 특별사법),實體法(민사소송법은 절차법)
2. 形式的民法과實質的民法: 민법전은 형식적 민법, 실질적 민법은 사법 중 「상법기타 특별사법」을 제외한 일반사법을 말함.
제2절 民法의法源
Ⅰ.法源의意義(민법 제1조)
1. 民法 제1조의 意味
민사관계의 법원은 法律, 관습법, 조리이나 관습법은 법률이 없을 때 보충적으로 적용되고, 조리는 관습법도 없을 때 최종적으로 적용됨.
2. 成文法主義(우리민법)와不文法主義의長・短點
성문법주의
불문법주의
장점
① 법률의 명확화를 기할 수 있다.
② 법의 통일정비가 용이하다.
③ 법질서가 안정적이다.
① 법질서가 경화되지 않고, 유동적이어서 구체적 타당성에 보다 유효하다.
② 법의 진화가 보다 용이하다.
단점
① 법질서가 유동적이 못되어 구체적 타당성을 저해하는 경우가 많다.
② 사회사정의 변천에 곧 적응하기 어렵다.
① 법이 명확하지 않다.
② 통일정비가 곤란
③ 법질서의 안정을 해한다.
Ⅱ.成文民法
① 민법전 ② 민법전 이외의 법률(이자제한법, 부동산등기법, 호적법, 주택임대차보호법 등) ③ 명령, 대법원규칙, 조약, 자치법규(조례․규칙)
Ⅲ.不文民法
1. 慣習法
(1) 성립요건
① 법적 내용에 관한 민사관습이 있을 것
② 관행이 일정기간 계속되고, 일정지역에 걸쳐 행하여 질것
③ 법적 확신이 있을 것
④ 공서양속에 반하지 않을 것
⑤ 법률과 충돌되지 않을 것
□판례□
[관습법의 의의] … 관습법이란 사회의 거듭된 관행으로 생성한 사회생활규범이 사회의 법적 확신과 인식에 의하여 법적 규범으로 승인 강행되기에 이르른 것을 말한다.(大判 1983. 6. 14. 80다3231)
(2) 관습법의 법원성(§1)
□판례□
....
[민법] 민법의 통칙 민법의 통칙
제1절 民法의意義
1. 一般私法(상법은 특별사법),實體法(민사소송법은 절차법)
2. 形式的民法과實質的民法: 민법전은 형식적 민법, 실질적 민법은 사법 중 「상법기타 특별사법」을 제외한 일반사법을..
권리의 객체 민법상 권리의 객체 전반에 대한 연구
권리의 객체라 함은 權利의 대상을 말한다. 예컨대, 물권에 있어서 物件, 채권에 있어서는 채무자의 행위, 형성권에 있어서는 법률관계, 무체재산권에 있어서는 저작․발명 ..
權利의 客體 민법상 권리의 객체 (權利의 客體)에 대하여
1. 物件의 意義
權利는 법에 기초하여 권리주체가 향유할 수 있는 一定한 利益을 내용으로 한다. 이 이익을 충족키기 위하여 필요한 일정한 대상을 權利의 客體라고 ..
제조물 책임법(PL법) 제조물 책임법에 대한 제정, 각국의 동향, PL법의 내용 및 기업의 대응방법에 대한 자료
1.제조물 책임법의 정의
2.제조물 책임법의 목적
3.제조물 책임법의 제정 과정
4.외국의 제조물 책임법 동향
5.제조물 책임..
[법학] 민법과 상법에 관해서 [법학] 민법과 상법에 관해서
목 차
1. 민법의 기본이념
(1) 근대 민법의 기본이념
(2) 현대 민법의 기본이념
2. 상법의 기본이념
(1) 상법의 이념
(2) 실질적 의의의 상법
(3) 형식적 의의의 상법
(4) 실질적 ..
[법학] 민법에 대한 개괄적 이해 민법에 대한 개괄적 이해
1. 개관
(1) 민법이란 무엇인가
1) 민법은 형식적으로 볼때 1958년 법률 제471호로서 제정된 총 1118개조의 법률을 말하고, 실질적으로 볼 때는 사법(私法)에 있어서 상법 , 근로기준..
[법학] 민법서론 民法序論
I.民法의 의의
1. 형식적 의미의 民法
형식적 의미로서의 民法은 1958년 2월 22일에 공포되어 1960년 1월 1일에 시행된 법률 제 471 호(민법전)를 말한다. 민법전은 독일식 편별법에 의하여, 제1편 총..
법학전문대학원 자기소개서와 면접자료 그 후 저는 법학에 관심을 갖고 관련 개념을 스스로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법을 통해 구조를 바꾸고, 제도 안에서 실제로 작동하는 정의를 구현하고 싶은 사람입니다.
특히 판례를 중심으로 논리를 정리하..
로스쿨 자기소개서와 면접자료 그 경험은 제가 단순히 정책을 이해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법 자체를 공부하고 싶다는 마음을 갖게 된 계기였습니다.
그 경험 이후 법학 공부를 체계적으로 시작했습니다.
그 경험이 계기가 되어 법학 공부를 결..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최초합 자기소개서와 면접자료 연수 과정에서는 실제 사건 사례를 분석하고 적용 가능한 법리와 전략을 논의하며 실무적 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했습니다.
대학에서 민법과 형법 등 기초법학을 학습하며 법적 논리와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고,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