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부문과 달리 정부부문이 갖는 대표적인 특징으로서 강제성과 보편성을 들수 있는데, 이러한 정부부문의 특징이 가장 대표적으로 표현되는 예가 정부의 조세징수 행위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개인들 사이의 거래행위는 자발적 교환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어떤 재화를 사기 위해 특정 금액을 지불한다는 것은 그 재화가 그 만큼 자신에게 효용을 주기 때문이며, 재화를 파는 입장에서도 재화를 내어주는 이유는 지불된 그 금액으로 자신에게 이윤이 남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민과 정부의 관계에 있어서는 각 개인이 납부하는 세액과 정부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가치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세금을 내는 것이 결코 아니다. 단지 정부가 ‘무임승차자의 문제’를 해결하고, 정부의 재원조달을 위해 강제적인 방법을 동원하기 때문에 세금을 내는 것이며, 바로 이러한 비자발적 납부가 조세의 본질적 특성이다.
Ⅱ. 조세의 기본원칙
조세의 기본원칙이란, 현실의 조세제도가 얼마나 바람직한가를 평가할 수 있는 일정한 판단 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이에는 공평성, 효율성, 세수의 충분성, 징세의 편의성 등을 들수 있다.
이러한 네가지 원칙은 바람직한 조세제도가 갖추어야 하는 이상적 요건이나 현실적으로 모든 요건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효율적인 조세제도는 없다. 즉, 공평한 부담을 중시하여 설계된 조세는 행정적으로나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경우도 있다.
Ⅲ. 조세의 공평성
조세부담이 공평하게 배분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수평적 공평성과 수직적 공평성이 있는데, 여기서 수평적 공평성이란 동일 경제상황에 있는 사람은 동일한 세금을 납부해야 한다는 것이며, 수직적 공평성이란 더 나은 경제상황에 있는 사람이 더 많이 납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특정 사람을 동일 또는 상이한 경제적 상황에 있는가를 판별하는 기준으로서는 편익원칙과 능력원칙 있다.
(1) 편익원칙
① 개념
....
[재정학] 조세의 기초이론 및 전가와 귀착 조세의 기초이론 및 전가와 귀착
[조세의 기초이론]
Ⅰ. 조세의 개념 및 분류
1. 조세의 개념
조세란 국가가 재정수입을 조달할 목적으로 특별한 개별적인 보상없이 민간부문으로부터 강제적으로 징수하는 화폐 또..
[재정학] 조세의 기초이론 조세의 기초이론
Ⅰ. 조세의 개념 및 분류
1. 조세의 개념
조세란 국가가 재정수입을 조달할 목적으로 특별한 개별적인 보상없이 민간부문으로부터 강제적으로 징수하는 화폐 또는 재화를 의미
2. 이상적인 조세의..
[재정학] 조세의 전가와 귀착 조세의 전가와 귀착
Ⅰ. 전가와 귀착의 기초개념
1. 조세부담의 전가
(1) 개념
조세부담의 전가(shifting)란 조세가 부과되었을 때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세부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경제주체에게 ..
[재정학] 조세의 초과부담 및 최적화 이론 조세의 초과부담 및 최적화이론
[조세와 효율성:초과부담]
Ⅰ. 초과부담
1. 초과부담의 개념 및 발생원인
① 초과부담(excess burden)이란 조세부과로 민간부문의 의사결정이 교란됨에 따라 발생하는 효율성 상실..
[재정학] 개별조세이론 개별조세이론
Ⅰ. 소득세
1. 의의 및 과세체계
(1) 소득세의 의의
① 소득세는 세수비중이 클 뿐만 아니라 누진적인 과세를 통해 조세부담의 공평성을 실현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조세이기 때문에 대부분 국가에..
[재정학] 조세와 투자 조세와 투자
1. 신고전학파 투자이론
(1) 개요
① 신고전학파 투자이론은 조르겐슨(D. Jorgenson)에 의하여 개발된 이론으로 투자이론으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음
②이 이론에 따르면 기업은 이윤극대화의 관점에..
[재정학] 최적과세론 최적과세론
Ⅰ. 개요
1. 최적조세구조와 최적과세
① 최적조세구조(optimal tax structure)란 효율성과 공평성의 관점에서 사회후생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세구조를 의미
② 최적과세이론의 주관심사는 어떤 대상에..
[재정학] 재정학의 기초 재정학의 기초
Ⅰ. 재정학의 개념 및 공공부문의 특징
1. 개념
재정학(public finance)이란 정부의 경제적 기능과 역할을 체계적으로 연구․분석하는 경제학의 한 분야임
2. 정부를 보는 기본시각
(1) 유기체적 ..
조세제도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헌법에 명시된바에 의하여 몇가지의 의무와 권리를 가진다. 그중 나라의 살림을 운영해 나가기 위한 국민의 의무로 ‘납세의 의무’가 있다. 우리가 내는 세금에는 어떠한 것이며 어떠한 성격이..
[재정학] 공공선택이론 공공선택이론
I. 공공선택이론의 개념
① 공공선택이론(theory of public choice)이란 비시장적 과정을 통해 공공재 공급에 관한 집단적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분야임
② 공공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