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림 [士林]
◆ 목차
2. 사림 [士林] 의 등장
3. 4대 사화[士禍]
4. 사림 [士林]정치의 폐해
1. 사림[士林] 이란
1. 사림[士林]이란
사림[士林] = 유교를 닦는 선비 집단
[[고려사]]의 유학을 닦은 관료에 대한 표현
유사(儒士), 유신(儒臣), 유학자(儒學者) 과 같은 표현 사용.
-]麗末 ,신유학(新儒學)의 도입 이후
사대부(士大夫), 사인(士人), 사류(士類), 사족(士族)
※ 신유학이 수용되면서 고려의 문사들도 사(士)란 표현이 강조.
* 宋代, 신유학의 성립.
유교의 주류학파로서 성리학(性理學) 또는 주자학(朱子學)으로 불림.
[[조선왕조실록]] 유학을 공부하는 선비들의 집단성을 사림으로 표현
태종 代 ~ 예종 代 에 이르기까지 121건 표기.
성종 代 이후 사용빈도가 증가
1. 사림[士林]이란
사대부(士大夫)
[[주례(周禮)]]
“앉아서 도(道)를 논하는 자를 왕공(王公)이라 하고,
사업을 일으켜 행동하는 자를 사대부라 하였다.”
-]전국시대 왕공 아래의 관료집단을 총칭하는 용어로 송(宋)대 까지 이어짐.
※ 정치적 지배계급으로서 문(文)무(武) 관료집단.
宋代, 유자(儒者)를 중용한 문치주의 정책
사대부가 무신관료가 배제된 독서인(讀書人)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변화.
『사대부』사회를 형성한 宋代 독서인층은 唐末 등장한 신흥지주층.
지방에 소유한 장원을 기반으로 지역사회의 지도자로 활동하며,
과거를 통해 관료로 임용되기를 꿈꾸었던 지식인층.
2. 사림[士林]의 등장
사림의 계보
영남 사림 종주
중종조 사림의 개혁
3. 4대 사화[士禍]
무오사화(戊午史禍)
성종 사후,
삼사(三司)를 중심으로 세력을 갖춘 사림과 기존 훈구대신 간의 알력으로 발생.
....
[한국사] 사림의 대두와 붕당정치 사람의 대두와 붕당정치
Ⅰ. 서론
우선 사림의 의미를 알아보면, 사림은 어의상으로는 사족(士族)․사류(士類) 따위와 같이유학을 공부하는 선비들의 집단이라는 의미이다. 조선의 건국과정에서 역성 혁명에 반대..
한국사 - 조선시대 4대 사화에 대하여 조선시대 4대 사화에 대하여
목 차
*사화
- 조선시대 4대 사화
1.무오사화
2.갑자사화
3.기묘사화
4.을사사화
*사화
사화란 조선시대에 조신 및 선비들이 반대파에게 몰려 화를 입은 사건을 말한다.
조선 개..
조선시대 사대사화 ■조선시대 사대사화 ■
☞조선이 건국되고 약100년간의 시대는 훈구세력의 집권시대로 비교적 국가안정을 이루는 듯 보였다. 그러나 훈구세력의 독점적 정권장악은 결국 사회를 부패하게 만들었고. 방만한 양반 관..
서원교육의실상
서원교육의 실상
1. 들어가며...
조선 중기 이후 학문연구와 선현제향(先賢祭享)을 위하여 사림에 의해 설립된 사설교육기관인 동시에 향촌자치 운영기구인 서원은 성립과정에서 중국의 영향을 받기는 하였으..
퇴계이황 Ⅰ. 退溪 李滉의 哲學思想
1. 生涯
退溪(AD, 1501-1570)는 朝鮮 理氣哲學을 集大成하고 또한 朝鮮의 儒者型을 완성한 학자이다.
그는 性理學의 본질을 정밀하게 구명하여 조선 철학의 황금시기를 이루어 놓..
[한국사] 사림의 대두 사림의 대두
사림은 어의상으로 사족(士族)․사류(士類) 따위와 같이 유학을 공부하는 선비들의 집단이라는 의미이다.
사림이라는 용어는 고려 후기의 사회변화와 함께 나타났다. 고려는 귀족 중심의 성향이 강한..
[사회안전망] 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의 안전망 구조를 설명하시오. [사회안전망] 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의 안전망 구조를 설명하시오.
Ⅰ 서론
Ⅱ 본론
1. 사회안전망의 개요
2. 사회안전망의 종류와 기능
1) 1차 안전망
2) 2차 안전망
3) 3차 안전망
Ⅲ 결론
참고문헌
[..
사회과학 - 남명학파 번성과 쇠퇴 (기축옥사~인조반정) 남명학파 번성과 쇠퇴 (기축옥사~인조반정)
연산군 7년(1501)에서 선조 5년(1572)에 이르는 시기는 조선에 4대 사화 가운데 3대 사화가 잇달아 일어난 사화의 결정기에 해당한다. 실제로 조식은 그와 가까운 사..
야심가의 꿈과 좌절 조광조 [야심가의 꿈과 좌절 趙光祖]
급진 개혁을 추진한다는 든든한 후원자였던 중종에게 버림받은 정암 조광조.
비범한 카리스마를 무기로 등장해 성리학 이념을 바탕으로 도덕정치가 구현되는 이상사회 건설을 부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