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문학과 민중의 발견

1. 한국 현대문학과 민중의 발견.hwp
2. 한국 현대문학과 민중의 발견.pdf
한국 현대문학과 민중의 발견
한국 현대문학과 민중의 발견

1. 머리말
한국 현대문학 100 년을 뒤돌아보면 계층적 또는 계급적 인식틀로써 세계와 인간을 이해하고자 하는 시각이 문학사 전개를 주도한 힘의 하나로 작용했음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국 사회의 근본을 새롭게 하고자 하는 변혁 열정에 이끌린 그 같은 시각의 한가운데에 놓인 말은 '민중(民衆)'이다.

봉건적 지배권력의 수탈과 착취 아래 신음하는 백성이란 의미에서부터 자본주의 수탈구조의 변혁을 겨누는 정치운동에 실천적으로 복무하는 세력이란 의미에 이르기까지 민중의 개념은 다양하다. 그 의미가 어떠하든 민중이란 말은 한국 사회를 구조적으로 인식하고 변혁하고자 했던 진보적 정신의 핵심을 담아내는 그릇이었다.24)

이 글은 한국 민중문학의 몇 특성을 살피고자 하는 시도이다. 주로 부정적인 측면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하는데, 몇 가지 앞선 말이 필요하다.

먼저, 부정적인 측면을 비판적으로 살핀다고 하여 한국 민중문학의 성취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 거듭 말해지겠지만 한국 민중문학은 한국 사회의 근본 변혁을 지향했던 전체 변혁운동의 한 톱니바퀴로서 존재했던 문학운동의 산물로서 한국 사회의 근대화에 크게 이바지하였으며, 한국 사회와 그 구성원들의 삶을 구조적․전체적 차원에서 문제삼는 역동의 세계를 창출해냄으로써 우리 문학사를 풍성하게 가꾼 문학이었다.

이 글에서 거론되는 민중문학의 부정적 측면이 민중문학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 그 문제점은 대체로 우리 문학 일반이 공유하고 있는 것일 경우가 많다. 이렇게 본다면 민중문학의 부정적 측면에 대한 고찰은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 문학 일반의 부정적 측면에 대한 고찰이기도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짧은 글이니 만큼 거친 개괄의 위험을 피할 수 없다는 사실도 먼저 밝혀 두어야겠다. 나아가 보기로 하자.

....
인문, 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