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머리말
한국 현대문학 100 년을 뒤돌아보면 계층적 또는 계급적 인식틀로써 세계와 인간을 이해하고자 하는 시각이 문학사 전개를 주도한 힘의 하나로 작용했음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국 사회의 근본을 새롭게 하고자 하는 변혁 열정에 이끌린 그 같은 시각의 한가운데에 놓인 말은 '민중(民衆)'이다.
봉건적 지배권력의 수탈과 착취 아래 신음하는 백성이란 의미에서부터 자본주의 수탈구조의 변혁을 겨누는 정치운동에 실천적으로 복무하는 세력이란 의미에 이르기까지 민중의 개념은 다양하다. 그 의미가 어떠하든 민중이란 말은 한국 사회를 구조적으로 인식하고 변혁하고자 했던 진보적 정신의 핵심을 담아내는 그릇이었다.24)
이 글은 한국 민중문학의 몇 특성을 살피고자 하는 시도이다. 주로 부정적인 측면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하는데, 몇 가지 앞선 말이 필요하다.
먼저, 부정적인 측면을 비판적으로 살핀다고 하여 한국 민중문학의 성취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 거듭 말해지겠지만 한국 민중문학은 한국 사회의 근본 변혁을 지향했던 전체 변혁운동의 한 톱니바퀴로서 존재했던 문학운동의 산물로서 한국 사회의 근대화에 크게 이바지하였으며, 한국 사회와 그 구성원들의 삶을 구조적․전체적 차원에서 문제삼는 역동의 세계를 창출해냄으로써 우리 문학사를 풍성하게 가꾼 문학이었다.
이 글에서 거론되는 민중문학의 부정적 측면이 민중문학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 그 문제점은 대체로 우리 문학 일반이 공유하고 있는 것일 경우가 많다. 이렇게 본다면 민중문학의 부정적 측면에 대한 고찰은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 문학 일반의 부정적 측면에 대한 고찰이기도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짧은 글이니 만큼 거친 개괄의 위험을 피할 수 없다는 사실도 먼저 밝혀 두어야겠다. 나아가 보기로 하자.
이야기 문화 1. 민족에게 있어서의 이야기 문화
2. 시대 속에 나타나는 이야기 문화
3. 이야기, 민중의 이야기
많은 예를 든 것은 아니나 조선시대의 문학과 현대의 문학을 살펴보았다. 보았듯이 이야기, 즉 문학이란 것은..
여성과 문학 한국문학계에서는 1980년대의 민족, 민중, 노동문학론이 등장하면서 진보적인 문학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으나 문학에 있어서 여성문제에 대한 인식과 여성해방의 시각이 뚜렷이 대두되지는 못하였다.이에 대..
한국 현대 정치사에서 민중세력의 정치참여와 민주화에 미친 영향 한국 현대 정치사에서 민중세력의 정치참여와 민주화에 미친 영향
1. 박정희 정권 기간
유신독재기간에 있어서 시민세력의 동원은(제3단계) 1960년대의 제반 모순들이 번번하게 표출되는 가운데, 3선 개헌 반대 ..
5.18 광주민중항쟁 5.18 광주민주항쟁
1980년 5월 광주에서는 한국 현대사중 가장 비극적이고 추악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신군부의 12·12 하극상 쿠데타로부터 시작된 정권찬탈음모는 결국 80년 5월, 광주시민의 고귀한 생명을 앗..
한국문학과 중국문학의 비교
Ⅰ.서 언
한국문학 연구에 비교문학적 방법론의 도입이 논의된 것은 1950년대에 들어와서이다.
한국과 중국은 지리적으로 연접하고 있는 까닭에 수천년동안 중국문학의 영향을 받아오다가, 갑오경장을 계기로 ..
[한국문학] 기행문학의 이해 기행문학의 이해
Ⅰ. 기행문학의 정의 및 형식
기행문학(紀行文學, travel literature)이란 여행을 하면서 겪는 체험․견문․감상 등을 중심으로 한 문학을 말한다. 기행문학은 주로 일기․서간․수필 등의 형식으로..
[국문학] 한국문학통사 [국문학] 한국문학통사
목 차
1. 문학사 이해의 새로운 관점
2. 첫째 시대 : 원시문학
3. 둘째 시대 : 고대 문학
4. 셋째 시대 : 중세 전기문학 (제 1 기 삼국 · 남북국시대)
1. 문학사 이해의 새로운 관점
1...
역사학 역사학 입문
80년대 후반 역사가단체들의 탄생과 민중사
목차
(구로역사 연구소와 한국 역사 연구회의 분립중심으로)
(역사문제 연구소, 역사학 연구소, 한국 역사 연구회)
8 0 년 대 민 중 사 학 의 등 장
8 0 년..
정치경제학에 대한 재고찰 정치경제학에 대한 재고찰
한국사회의 분단과 내전 등의 역사적 특수성으로 인한 '우경 반쪽 불구화'된 이데올로기적 지형속에서 지배논리를 극복하지 못하고, 그 속에서 허둥대던 한국 사회과학은 80년대 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