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

1. 역사학.ppt
2. 역사학.pdf
역사학
역사학 입문
80년대 후반 역사가단체들의 탄생과 민중사
목차
(구로역사 연구소와 한국 역사 연구회의 분립중심으로)
(역사문제 연구소, 역사학 연구소, 한국 역사 연구회)
8 0 년 대 민 중 사 학 의 등 장
8 0 년 대 민 중 사 학 의 등 장
8 0 년 대 민 중 사 학 의 등 장
민중사학 제기
8 0 년 대 민 중 사 학 의 등 장
정창렬
개항 이후부터의 한국의 근대화 과정을 “인간해방, 사회해방, 민족해방을 내용으로 하는 민중적 민족 형성 코스”라 주장.

이만열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민족사의 주체세력을 민중으로 파악하여 민중의식을 기반으로 하고 민중을 역사의 주체로 하는 민족사, 즉 ‘민중의식에 입각한 민족사관’을 주장.
강만길
8 0 년 대 민 중 사 학 의 등 장
「한국근대사」 (1984년)
내재적 발전론에 입각해 조선봉건사회의 해체과정을 설명.
개항 후 제국주의 세력의 침략에 저항하는 반제 반봉건 민족운동의 발전을 성장과정을 중심으로 서술.

「한국현대사」
일제하에 있어서는 부르주아 민족운동의 한계, 친일화 과정, 민중운동의 성장과 사회주의적 민족운동의 발전, 좌우익의 민족협동전선운동과 건국준비 등을 중심으로 서술.
연구자 단체의 결성
8 0 년 대 민 중 사 학 의 등 장
유신체제 국학연구 지원에 따른 신진 연구자들의 양산

민중운동이 성장하는 시기에 역사학을 연구하여 진보적 성향을 가짐.

기존의 보수적인 한국사학계에 대해 “비과학적인 역사인식이 횡행하고, 고립분산적인 연구풍토, 업적주의가 팽배”하다고 비판

민족적 민중적 과제의 해결에 보다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실천적 학문의 필요성 제기

즉 역사학의 과제는 현 시대적 과제인 ‘민주주의의 실현과 조국 통일’에 실천적으로 동참하는 ‘과학적, 실천적 역사학’을 수립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 연구자 단체를 결성함.
시대적 흐름과 관련한 단체들의 등장
시대적 흐름과 관련한 단체들의 등장
(구로역사 연구소와 한국 역사 연구회의 분립중심으로)
민중사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