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감자 ‘통상임금’과 ‘상여금’
-통상임금에 상여금이 포함되어야 하는가
통상임금 논란
목차
통상임금이란
상여금이란
현재 임금의 구성은
왜 논란거리가 되는 것인가-상여금이 통상임금에 포함된다면
미국은 어떠한가
이 논제에 대한 주관적 견해
통상임금이란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 제1항통상임금은 근로자에게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소정(所定) 근로 또는 총 근로에 대하여 지급하기로 정한 시간급 금액, 일급 금액, 주급 금액, 월급 금액 또는 도급 금액을 말한다.
기본급 외에 직무수당과 직책수당, 기술수당, 면허수당, 위험수당, 벽지수당, 물가수당 등 사업주가 일률적으로 지급하는 임금은 모두 포함되지만 상여금, 연월차수당, 연장근로수당 등과 같이 근로실적에 따라 변동지급되는 임금은 포함되지 않는다. -]추후 이러한 정의는 곧 수정되리라 예상됨.
통상임금이 왜 중요한가통상임금은 연장근로와 야간근로, 휴일근로에 대한 가산금과 유급 휴가시에 지급될 임금을 산출하는 기준이 된다.
상여금이란
시사경제용어사전, 기획재정부, 2010.11, 대한민국정부
임금 이외에 특별히 지급되는 현금급여로, 보너스라고도 한다. 본래는 능률급제도로, 표준작업량 이상 성과를 올린 경우에 지급되는 임금의 할증분. 유럽과 미국에서의 보너스는 이 할증분을 뜻함. -예시) 외국계 기업의 경우 성과에 따른 상여금 차이가 크다.
하지만 한국에서의 보너스는 그것과는 조금 달라서 하기휴가연말 등에 정기 또는 임시로 지급되는 일시금을 가리키며, 일반적으로 임금의 일부로서 노사교섭에 따라 결정됨.-예시) 000%의 연말 보너스, 휴가 보너스, 설 보너스, 추석 보너스.
현재 임금의 구성은
정규직 근로자 연간총급여 구성비(08년 임금제도 실태조사 결과)
....
통상 임금과 평균임금 통상임금과 평균임금
1. 통상임금
통상임금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에 대해 판례와 행정해석이 차이가 있다. 즉, 판례는 가족수당·통근수당·식대와 같이 복리후생적인 명칭의 금품이더라도 정기적·일률적으로 전근..
정기상여 및 경영성과급의 통상 임금 해당여부 검토 정기상여 및 경영성과급의 통상임금 해당 여부 검토
1. 1임금지급기를 초과한 임금의 통상임금 해당성
종래에는 상여금, 체력단련비, 자녀학비보조금, 월동보조비 등과 같이 연 1회 또는 2회로 지급되는 금품이 ..
평균임금 평균임금, 통상임금 포함 범위 여부에 대한 구체적 검토
1.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정의 및 구별 필요성
가. 평균임금
평균임금이란 ‘이를 산정해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간에 근로자에 대하여 지급된..
연봉근로고용계약서(11조항) 연봉근로계약서
사용자
(甲)
성명
사업의 종류
사업체명
소재지
근로자
(乙)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제1조(고용계약) 근로자 (乙)은 사용자(甲)의○○ 업무에 관하여 노무를 제공할 것을 약속하고 사용자(..
연봉근로계약서(11조항) 연봉근로계약서
사용자
(甲)
성명
사업의 종류
사업체명
소재지
근로자
(乙)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제1조(고용계약) 근로자 (乙)은 사용자(甲)의○○ 업무에 관하여 노무를 제공할 것을 약속하고 사용자(..
연봉제 적용에 따른 통상 임금 산정의 법적 문제 연봉제 적용에 따른 통상임금 산정의 법적 문제
1. 문제의 소재
연봉제란 무엇인가에 관해서 경영학 등 학문분야에 따라 다양한 견해가 있지만, 노동법 입장에서 보면‘근무연수나 근로시간이 아닌 근로자가 가지..
임금제도의 동향에 대하여 우리나라 임금제도의 흐름 전반에 대한 연구
1. 들어가며
근로계약은 그 정의에 있어서 상대방이 노무의 제공에‘보수를 지급할 것을 약정’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민법 제655조, 근로기준법 제17조). 임금..
우리 나라에서 임금제도 및 임금의 결정구조 우리나라에서 임금제도 및 임금의 결정구조
1. 임금체계 및 임금결정체계
우리나라 기업의 임금제도는 대체로‘임금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업의‘임금결정체계’는 개별기업이 임금의 결정시 어떠한 요..
근로기준법상 임금 근로기준법상 임금 파트 중간 기말 시험 대비 총정리
목차
* 평균임금
* 통상임금
* 평균임금․통상임금의 상이점
* 근기법상의 도급근로자의 임금보호
* 도급근로자의 노동법상의 보호
* 임금지급원칙
* 임금채권..
통상 임금 개념 정립 및 발전방향 제안 통상임금 개념정립 및 발전방향에 대하여
Ⅰ. 들어가며
통상임금은 해고예고에 갈음하는 수당(근로기준법 제32조 제1항), 유급휴일임금(동법 제54조), 연장, 야간 및 휴일근로시의 가산임금(동법 제55조), 연차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