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교육대학원 체육교육과 학업계획서

1. 고려대 교육대학원 체육교육과 학업계.hwp
2. 고려대 교육대학원 체육교육과 학업계.pdf
연구주제에 있어서는 '학습자 참여도 향상을 위한 체육수업 전략'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최종적으로는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체육수업 설계를 위한 실증적 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하나의 체계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구성해 보고자 합니다.
체육교육을 전공하고자 결심한 이후로 가장 먼저 관심을 가졌던 주제는 '수업 참여도'였습니다.
다양한 체육활동에 학생들이 얼마나 자발적으로 참여하는지에 따라 수업의 성격이 완전히 달라졌기 때문입니다.
앞으로의 연구 방향은 '체육수업 참여를 촉진하는 교수 전략과 학습환경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설정할 계획입니다.
대학원 과정을 마친 이후에는 학교 현장에서 체육수업의 질을 높이고 학생 참여를 활성화하는 교육 실천가로 활동하고자 합니다.
학습자가 즐겁게 몰입할 수 있는 체육수업 설계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수업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실천 가능한 교육 모델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과는 이론과 실제를 균형 있게 아우르는 커리큘럼을 갖춘 교육기관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아울러 고려대학교는 교육학 전반에 걸쳐 탁월한 연구역량을 자랑하며, 교수진 역시 현장 경험과 이론적 전문성을 겸비한 분들로 구성되어 있어 학문적으로 깊이 있는 탐구가 가능하리라는 확신을 주었습니다.
특히 체육교육과 내에서는 교육과정 개발, 수업분석, 체육평가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저의 관심 방향과도 잘 부합합니다.
이를 위해 '체육교육론', '체육학습 이론', '운동발달 및 학습'과 같은 기본 이론과목들을 우선적으로 이수할 계획입니다.
특히 '체육교육과정 및 지도법' 과목을 통해 수업 설계 능력을 구체화할 계획이며, 다양한 교수학습 모형의 이론적 근거와 실제 수업 적용 방안을 학습함으로써 수업 전문성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이후에는 '체육수업 분석 및 평가', '체육과 교육과정 개발', '체육측정 및 통계' 등 심화과목을 통해 실제 수업의 질을 분석하고 개선할 수 있는 평가 역량을 기르고자 합니다.
학습방법에 있어서는 매수업 전 사전 읽기를 철저히 하여 이론의 흐름을 미리 정리하고, 강의 중에는 발표와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다양한 시각을 접하는 데 집중할 계획입니다.
수업 참여를 촉진하는 다양한 교수 전략-예컨대 과제식 수업, 도전모형, 협동학습 등의 특징을 비교하고, 각각 이 학습자의 행동변화에 어떤 방식으로 작용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앞으로의 연구 방향은 '체육수업 참여를 촉진하는 교수 전략과 학습환경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설정할 계획입니다.
예를 들어, 협동학습을 활용한 수업이 좁은 공간에서 진행될 때와 넓은 운동장에서 진행될 때 참여의 질이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하거나, 학생 주도 수업에서 자율성과 참여도 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합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교수학습 전략과 환경 구성 방식에 대한 학문적 탐구는 제가 대학원에서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고자 하는 중심주제입니다.
대학원 과정을 마친 이후에는 학교 현장에서 체육수업의 질을 높이고 학생 참여를 활성화하는 교육 실천가로 활동하고자 합니다.
특히 체육수업은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가 전제되어야만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심리적 특성과 반응을 면밀히 관찰하고, 그에 적절히 대응하는 수업 전략을 설계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대학원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수업 참여 전략이나 수업환경 구성연구는, 이러한 실천역량을 탄탄히 구축하는 데 핵심적인 기초가 될 것입니다.
수업, 체육, 참여, 교육, 학습, 통해, 이다, 연구, 현장, 되어다, 활동, 학생, 전략, 교사, 실제, 이론, 설계, 실천, 다양하다,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