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 인간은 이상적인 존재 41p

1. 철학의 이해 인간은 이상적인 존재 41p.hwp
2. 철학의 이해 인간은 이상적인 존재 41p.pdf
근대 철학의 인간이해: 이성 중심에서 욕망으로의 이동
현대사회 속 인간의 욕망 구조
이처럼 인간의 이성과 욕망, 그리고 에로스적 사랑은 서로 단절된 개념이 아니다.
인간의 본질이 이성에 있는가, 욕망에 있는가를 탐구하고,
즉, 인간의 욕망은 "타인의 시선 속에서 욕망되는 나"를 향한다.
결론적 요약: 인간은 '이성으로 욕망하는 존재'
인간은 이성으로 욕망하고, 욕망으로 이성을 완성하는 존재이다.
사랑의 결핍과 인간의 윤리적 존재 방식
따라서 인간을 이해한다는 것은 곧, 이성과 욕망, 결핍과 충족, 감정과 이성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존재하고 성장하는가를 탐구하는 일이다.
따라서 플라톤의 이상적인 간은 이성이 욕망을 이해하고 인도하는 조화의 인간이다.
아리스토텔레스 : 중용과 실천적 이성의 조화
통합의 철학 : 이성과 욕망의 변증법적 상호작용
따라서 인간 존재의 완성은 이성과 욕망의 창조적 긴장 속 조화로운 통합에 있다.
그에게 자기 인식은 윤리적 판단의 조건이며,
윤리적 판단의 본질 : 감정과 이성의 결합
도덕적 판단을 내릴 때 인간의 두뇌에서는 이성적 판단을 담당하는 전전두엽(prefrontalcortex)뿐 아니라, 감정적 공감을 담당하는 편도체(amygdala)도 함께 활성화된다.
욕망의 사회적 성격: 타자의 시선 속의 자아
사회적 욕망의 구조 :인정, 권력, 소속
이성과 윤리의 개입 : 사회적 욕망의 비판적 성찰
인간은 이성으로 욕망하고, 욕망으로 이성을 완성하는 존재이다.
따라서 플라톤의 에로스는 감각적 사랑을 부정하는 금욕의 철학이 아니다.
사랑은 충족된 자의 감정이 아니라, 자신의 결핍을 인식한 자의 운동이다.
사랑의 운동 : 결핍에서 완전으로 향하는 상승의 과정
이 상승과정에서 결핍은 단순히 채워지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새로운 결핍으로 변형된다.
결국 플라톤이 말한 사랑의 본질은 "결핍을 자각한 존재가 완전을 향해 나아가는 운동"이다.
즉, 에로스는 감각적 아름다움에서 출발하지만, 그 아름다움이 상징하는 보편적 미 의 원리를 향해 상승한다.
따라서 사랑은 아름다움을 향한 인식의 여정, 즉 미를 통해 진리를 향해 나아가는 철학적 과정이다.
이사다리의 각 단계는 동시에 아름다움의 인식 단계이기도 하다.
육체의 아름다움
모든 육체의 아름다움
한 사람의 아름다움을 통해, 모든 육체적 아름다움의 공통된 본질을 깨닫는다.
영혼의 아름다움
이 단계의 미는 도덕적·정신적 아름다움이다.
미와 존재의 관계 : 아름다움은 진리와 선의 통합
플라톤의 시대에서 사랑은 결핍의 자각이었다면, 현대의 사랑은 결핍의 의식적 재구성이다.
플라톤에게 사랑은 철학의 본질이었다.
결국 사랑이 곧 철학이며, 철학이 곧 사랑이다.
Sartre, J.-P.(1943/2005).BeingandNothingness(존재와 무). 김병익 옮김. 서울: 민음사.
욕망, 인간, 사랑, 존재, 이성, 철학, 에로스, 결핍, , 플라톤, 통해, 사회, 단순하다, , 아름답다, 이다, 인식, 감정, 윤리,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