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기술과 공연 실시 및 간행물 기재와 발명의 법적인 정 이슈(법학)
반포된 간행물에 기재된 발명(간행물)
간행물에 발행 시기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
간행물에 기재된 발명
즉, 공지된 발명은 그 내용이 비밀 상태로 유지되지 않고 불특정인에게 알려지거나 알려질 수 있는 상태에 있는 발명을 의미하며 그 공지된 내용에 기초하여 발명을 특정한다.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기술(예를 들어, 주지기술, 관용기술 ) 또는 경험칙으로부터 분명한 사항을 말한다.
공연(公然)히 실시된 발명」은 국내나 국외에서 그 발명이 공연(公然) 히 알려진 상태 또는 공연(公然) 히 알려질 수 있는 상태에서 실시(실시의 정의에 대해서는 특허법 제2조 제3호 참조)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공연 」은 바꾸어 말하면 「전면적으로 비밀 상태가 아닌 것 」을 의미하므로, 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발명의 주요부에 대하여 일부라도 비밀 부분이 있을 때에는 그 실시는 「공연」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공연히 실시된 발명은 그 발명이 실시됨으로써 불특정인에게 알려진 경우 이므로 그 발명의 공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할 필요는 없고 그 발명의 공연 실시 여부에 대하여서만 판단하면 충분하다.
간행물 반포 시기
간행물에 발행 시기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
b) 당해간행물에 관하여 서평, 발췌, 카탈로그 등을 게재한 간행물이 있을 때에는 그 발행 시기로부터 당해간 행물의 반포 시기를 추정한다.
c) 당해간행물에 관하여 중판(重版) 또는 재판(再版) 등을 이용하는 경우 그간행물의 반포 시기는 초판이 발행된 시기에 발행된 것으로 추정한다.
[특허법] 발명의 신규성 발명의 신규성(新規性)
I. 意義
(1) 신규성이란 발명이 사회에 공개되지 아니한 것, 구체적으로는 법 제29조 제1항 각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을 말함.
(2) 신규성은 실체적 특허요건의 하나. 특허권은 기술..
인용발명에 있어서의 법적 용이성 판단 또한, 인용발명이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과 그 과제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도 당해 인용발명으로부터 통상의 창작능력을 발휘하여 당업자가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는 사실이자명한 ..
특허발명의 보호범위에 대한 검토 특허청구 범위 우선 [기준] 의 원칙
특허발명이 공지기술과 비교하여 개량진보되지 않은 발명의 경우, 즉 특허발명이 공지기술과 동일한 경우에는 보호 범위를 인정할 수 없다.
청구항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어느 ..
[특허법] 신규성 상실의 예외 신규성 상실의 예외(新規性喪失의例外)
I. 意義
(1) 법은 출원시 이미 신규성을 상실한 발명이라도 일정한 경우에는 그 공지행위로 인하여 신규성을 상실하지 아니한 것으로 간주하는 규정을 두고 있는데 이를 ..
요건에 대한 법적 검토 특허법 제29조 제1항 본문에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발명이기 위하여는 산업상 이용할 수 있는 발명일 것을 요건으로 하고 있다.
즉, 특허 받을 수 있는 발명은 신규성이 부정되지 않은 독창적인 기술적 사상이어..
발명에 해당하지 않는 법적 유형 검토 이 경우,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일부라도 자연 법칙에 위배되는 부분이 있으면 발명에 해당되지 않게 된다.
단순히 제시되는 정보의 내용에만 특징이 있는 것으로 정보의 제시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발..
특허발명 선출원 보호의 예외 검토 명세서의 기재불비 등으로 인하여 특허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 (대법원 2002.6.14.선고 2000 후 235 판결 등),
특허발명의 실시가 불가능한 경우 (대법원 2001.12.27.선고 99후 1973 판결 등)에..
발명의 법적 성립성 연구 발명은 자연법칙을 이용한 것이어야 한다.
이나 발견, 그리고 자연 법칙에 관한 잘못된 인식을 전제로 하는 발명은 자연법칙을 이용한 발명이라 할 수 없다.
발명이 자연 법칙을 이용한 것으로 되기 위해서는 발명..
[특허법] 발명의 진보성 발명의 진보성(進步性)
I. 意義
(1) 진보성이란 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출원시의 기술수준으로부터 용이하게 창작할 수 없을 정도로 출원발명의 구성이 곤란하여야 함을 말..
Time 근로시간 면제제도(Time-off) 실시에 대한 법적 이슈
1. 근로시간 면제제도의 의의
근로시간 면제제도(time-off)는 전임자 급여지급 금지의 예외로 인정되는 제도이다.
즉 개정 노조법에 규정된 time-off는 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