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년 총파업은 4단계로 이루어진다. 총파업의 시기구분은 민주노총 지도부의 방침 변화에 따라 구분한다. 제1단계는 ‘즉각적 대응전략’으로서 12월26일 노동법 개정 직후 바로 이루어졌으며 중심축은 대기업 생산직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제2단계는 ‘완급조절기의 전략’으로서 대규모 노조의 경우 파업을 유보한 상태에서 화이트칼라 노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제3단계는 ‘전면적 대응전략’으로서 화이트칼라 동원의 증가추세와 함께 생산직 노동자들의 동원이 결합되면서 총파업 기간 중 최대의 동원을 이루어낸 기간이다. 제4단계는 총파업의 소강국면으로 정치권의 논의를 주시하면서 4단계 총파업과 한국노총과의 연대파업을 준비하는 총파업의 전반적인 마무리 작업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2. 총파업의 전개과정 제1단계 (96.12.26-97.1.2)
12월 26일 신한국당이 단독으로 노동법과 안기부법을 날치기로 통과시키자 민주노총은 8차 투쟁본부대표자회의(12/23)의 결정에 따라 즉각 총파업에 돌입하였다. 1단계 총파업의 주요 동력은 금속연맹, 자동차연맹, 현총련 등 제조업을 기본으로 사무직의 전문노련과 공공부문의 병원노련, 지하철노조가 가세하여 전체 기간 동안 740개의 노조가 참가했으며 하루 평균 148개의 노조가 파업을 수행하였다. 이 기간 동안 화이트칼라 노조는 총 199개의 노조가 참가 하루 평균 39개 노조가 파업에 돌입하는 수치를 보여준다. 한편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은 12월30일에 공동결의문을 발표하여 “개악된 노동법의 철회를 위해 양노총이 공동 보조를 취할 것”을 선언하였다.
....
민주노총의 정치적 지위와 리더쉽 민주노총의 정치적 지위와 리더쉽
1. 민주노총의 정치적 지위획득 과정
97년 총파업은 노동운동 진영의 양대세력은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그리고 시민운동단체들을 포괄하는 범대위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그러..
97년 총파업을 통한 민주노총의 정치적 지위와 리더십 확보 97년 총파업을 통한 민주노총의 정치적 지위와 리더십 확보
1. 정치사회에서 민주노총의 지위획득
97년 총파업은 노동운동 진영의 양대세력은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그리고 시민운동단체들을 포괄하는 범대위를 ..
러시아 혁명 러시아 혁명
목차
러시아혁명
러시아혁명의 배경
혁명의 전개과정
1) 1905년 혁명(피의 일요일)
2) 1917년 2월 혁명
3) 4월테제
4) 10월 혁명
러시아혁명의 의의
1. 러시아혁명
1917년 10월 혁명(사..
97년의 정치적 상황과 노동계의 집합행동 기회요인 97년의 정치적 상황과 노동계의 집합행동 기회요인
1. 정치적 상황 분석
97년 총파업에서의 동원과 탈동원은 절차성, 즉 ‘날치기 처리’라는 정치적 상황의 요인과 밀접한 관련 속에서 전개된다.
틸리의 동원모..
97년 노동계 총파업에 관하여 97년 노동계 총파업
1. 들어가며
97년 노동계 총파업은 4단계로 이루어진다. 총파업의 시기구분은 민주노총 지도부의 방침 변화에 따라 구분한다. 제1단계는 ‘즉각적 대응전략’으로서 12월26일 노동법 개정 직후..
97년 총파업에 대한 정부의 대응 분석 및 정부 대응의 실패 요인 97년 총파업에 대한 정부의 대응 분석 및 정부 대응의 실패 요인
1. 억압 촉진의 측면에서 본 정부의 대응
97년 1월 총파업에서 노동자들의 집합행동의 비용을 증가시키는 정부의 행동은 총파업을 불법화하고 지..
97년 총파업국면에서의 화이트칼라 노동자의 집합행동 분석 97년 총파업국면에서의 화이트칼라 노동자의 집합행동 분석
1. 들어가며
먼저 97년 1월 총파업에서 화이트칼라의 동원 추이는 블루칼라 노조와는 대별되는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여준다. 즉 화이트칼라의 동원은 ..
일제 식민지 시기 한국의 노동운동 일제시대 한국의 노동운동
1. 들어가며
1910년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로 전락한 조선의 민중은 1919년 3․1운동을 경험하면서 민족적․계급적 각성을 높였다. 3.1운동에 시위와 파업으로 참여하였던 노동자들은 1..
노사관계론,고용의 양극화원인 노사관계론
1. 제조업에서의
외주화 또는 하청
2. 고용의 양극화원인
√ 발단
√ 전개과정
√ 사내하청의 문제점
√ 파업 관련사례
√ 결론
주 제
목 차
1
발단 (산업분야별 등장 시기)
조선은 1960년대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