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동_쌈지길_인사동거리_쌈짓길_전통길_인사동문화지구_전통문화거리_인사동보존_인사동활성화

1. 4_인사동_쌈지길_인사동거리_쌈짓길_전.hwp
2. 4_인사동_쌈지길_인사동거리_쌈짓길_전.pdf
인사동_쌈지길_인사동거리_쌈짓길_전통길_인사동문화지구_전통문화거리_인사동보존_인사동활성화
인사동 Ssamzie-gil

]] Ⅰ. 인사동의 옛 모습
● 인사동은..
서울의 한복판을 지켜온 인사동은 우리 옛 도시의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서울속의 마지막 동네이다.

인사동의 종로변은 조선초 이래 상업의 중심지로서 장안에서 가장 번화한 거리였으며 남과 북, 동과 서의 서울사람들이 모여드는 서울의 얼굴이었다.

하지만 80년대 이후 인사동길에는 높은 건물들이 들어서기 시작하였다.

]] Ⅱ. 인사동의 변화
● 변화하는 인사동길
그렇게 인사동길은 옛모습을 잃어가고 있었다.

▲ 2000년 인사동길의 서측거리

▲ 1980년 인사동길의 서측거리

▲ 2000년 인사동길의 동측거리

▲ 1980년 인사동길의 동측거리

▲ 인사동 지구단위계획
위기의 인사동을 살리기 위해 서울시 (종로구)는 구급처방으로1999년12월 22일, 2년간의 건축허가제한 을 공고했다.그리고 인사동지구단위계획 수립을 추진하게 되었다.

인사동지구단위계획은 전통을 유지하고 한옥, 작은가게, 거리문화, 길, 전통문화업종의 ‘인사동 다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그래서 인사동은 한옥 가옥과 근대 건축물들을 더 이상 훼손하지 않고 보존할 수 있게 되었다.

▲ 근대건축물의 보존

▲ 인사동의 한옥 전통가옥들
]] Ⅲ. 인사동길의 현대적 해석
● ‘인사동길’ 속의 또하나의 길 ‘쌈지길’
이 중, 영빈가든 부지는 전통적인 ‘인사동길’을 현대적으로 재해석 하였다.‘인사동길’속의 또하나의 길 ‘쌈지길’이다.

....
인사동, 쌈지길, 인사동거리, 쌈짓길, 전통길, 인사동문화지구, 전통문화거리, 인사동보존, 인사동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