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사회학
수업개요
전반적인 분석대상: 영화산업 + 미디어역사(라디오, 대중잡지, 만화 Comic strip, cartoon, Pop music, Videoclips, 컴퓨터 미디어 등.
- 미디어 역사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
대중사회(mass society)와 미디어간의 상호관계: 사회학적 관점에서 볼 때 대중사회에 미치는 가장 영향력이 큰 구조
Sociological Imagination
장면 1
- 왜 오래된 미국영화나 TV 시리즈에서는 배우들이 끊임없이 담배를 피우고, 위스키 잔을 손에 들고 있을까
Sociological Imagination
장면 2
- 왜 오래된 할리우드 필름에서 부부들은 따로 떨어진 침대에서 잠을 자고 있는가
Sociological Imagination
장면 3: 여배우의 이미지는 왜 다를까
- Greta Garbo - Jane Fonda
Sociological Imagination
장면 4
폭력과 사랑은 비례관계에 있다
- 할리우드 영화: 살인, 폭력, 고문 + 애정 관계 심화
- 영화나 TV 드라마에서의 폭력빈도 증가 이유는 폭력 혹은 Action
Sociological Approach
폭력(Violence) 관련
다수의 비평가: 청소년의 비행은 폭력적 영화나 드라마에 책임을 돌림
과연 그럴까: 과열 입시, 공교육의 파괴, 실업률증가, 부족한 직업훈련, 부패빈도의 증가는 우선적 원인이 아닐까
그러한 점에서 생산자들이나 소비자들 모두 폭력에 노출되고 있음
Sociological Approach
구조적 원인분석(폭력관련)
폭력의 책임을 영화에 전가하는 것이 아니라 왜 그러한 폭력이 존재하며, 어떠한 이해관계가 영화산업에 존재하는지 분석
국가의 검열과 자기통제(Self control)이 해결이 될까
Sociological Approach
....
스토리텔링,영화 “마스크”,영화분석 영화 “마스크”
분석하기
사진 출처 : flickr 작성자 antwerpenR
착하고 소심하고 사회에 찌들려 말 한마디 못 하는
“스탠리 입키스”
영화
주인공
영화 마스크 분석하기
우연히 마스크의 힘에 빠져
영화
배경의 힘..
사회 및 문화비평적 방식의 영화평론 검토1 사회 및 문화비평적 방식의 영화평론 검토
1. 들어가며
영화평론에서 사회, 문화비평의 방식은 영화라는 텍스트에 집중하기 보다는 영화와 이를 둘러싸고 있는 주변환경 일체를 연관지어 이를 주의깊게 살펴보는..
북한 만화영화의 성격과 특징,남·북한 만화영화의 비교,북한사회문화 북한 만화영화의
성격과 특징
Index
1. 들어가며
2. 북한 만화영화의 역사
4. 북한 만화영화시청
3. 특징 / 실상
5. 남·북한 만화영화의 비교
6. 마무리
1
들어가며
주제선정 이유
현대사회에서 미디어가 사회..
역사와영화
•
과 목 명 :
•
담당교수 :
•
학 과 명 :
•
학 번 :
•
성 명 :
•
제출일자 :
역사와 영화의 접점을 찾아서
- 영화의 사료로서 가치를 중심으로 -
< 目 次 >
1. 여는 글
: 이미지의 시대
2. 본문
: 이미..
방통대 2학기 중간과제 대중영화의이해 9p 독립영화의 개념과 주류 대중영화와의 비교
독립영화와 주류 영화의 공통점
독립영화와 주류 영화의 차이점
독립영화의 개념을 정리하고 주류 대중영화와 비교한다.
주류 영화가 대중적 흥행과 자본회수를 중심으..
영화 괴물 비평문 제목 : [괴물]은 정치적인 영화인가, 가족애를 다룬 영화인가
2006년 여름, 괴물은 처음 관객들 앞에 나왔다. 이 영화는 살인의 추억의 봉준호 감독의 신작이다. 이 영화가 개봉했을 때 왠지 재미있을 것 같다..
컴퓨터과학과 1학년 대중영화의이해 중간과제물 공통 독립영화의 개념과 대중영화와의 비교
독립영화와 대중영화의 공통점
독립영화와 대중영화의 차이점
영화는 현대사회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향유되는 예술 장르 중 하나이다.
또한 독립영화와 대중영화는 제작 구조..
2025년 2학기 중간과제 대중영화의이해 독립영화와 주류 대중영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사례중심)
즉, 독립영화는 상업적 흥행보다는 감독의 창작의도, 사회적 문제의식, 예술적 실험을 우선시한다는 점에서 주류 대중영화와 차별화된다.
독립영화와 주류 ..
한국영화의태동과발전그리고열풍[1]1 한국영화의 태동과 발전, 그리고 한국영화 열풍
** 머리글
근래 한국영화의 붐이 일고 있다. 프랑스 르몽드지는 90년 이후 근 10년간 한국영화가 기적적으로 성장했다고 분석할 정도이다. 이를 어떻게 해석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