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단백질의 추출
① 세포질에 존재하는 가용성 단백질의 추출
② 세포막에 존재하는 막 단백질의 가용화와 추출
5) 단백질의 분획
① 조분획 ② 한외여과
6) 단백질의 분리수단
①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② 겔여과 크로마토그래피
③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④ FPLC
7) 정제된 단백질의 순도 확인
1. 단백질 정제의 목적
세포를 구성하는 단백질은 모두 혼재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 각각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단백질을 정제해야만 한다.
정제의 기본은, 생리활성이나 기능을 지닌 목적 단백질을
1) 가능한 최고의 회수율
2) 최고의 생물학적 활성유지
3) 최고의 순도
로 얻는 것이다.
1) 정제 하고자 하는 단백질만을 선택적으로 측정, 즉 특이성을 고려
측정법에 따라 비슷한 구조와 기능을 하는 단백질들을 모두 검색하는 법이 있고,
원하는 단백질만을 검색하는 검사법이 있다.
2) 민감도 고려
미량의 시료로 측정 가능한 경우와 어느 농도 이상이 되어야만 측정 가능한 경우
로 나뉠 수 있다. 민감도에 따라 시료의 농도를 생각하여 정제 해야 한다.
3) 재현성 고려
같은 시료를 때와 장소, 측정하는 사람이 다르더라도 같은 수치가 나와야 한다.
4) 검사법이 편하고, 간편한 장비만 있어도 시행할 수 있어야 한다.
5) 검사소요 경비가 저렴 해야 한다.
2. 단백질 정제 시 고려사항
....
단백질분리정제 ▣ 단백질의 분쇄 및 원심분리
(1) Homogenizer
: 시료의 충분한 혼합, 교반, 분쇄에 사용되는데 시료속에서 dispersing shaft가 회 전할 때 dispersing shaft의 끝부분의 rotor구멍으로 시료가 강하게 빨려 들어..
단백질 분리 및 정제 단백질 분리 및 정제
[[첫째 날]]
(1) Sample Preparation
Principle:
• Extraction Buffer(=lysis buffer) : Tris, TritonX-100, NP-40, SDS 등 여러 가지 detergent들이 cell wall과 mitochondria membran..
단백질기술
단백질기술 (분석, 정제)
과 목: 생화학실험
교수님: 한인섭 교수님
학 과: 생명공학과
학 번: 19991050
이 름: 정 설 화
단백질 분리 및 정제
1. 크로마토그라피(chromatography)
크로마토그라피란 다공..
[생명과학실험] Tris-HCl Buffer 만들기 - 단백질 분리정제 및 기능분석 Tris-HCl Buffer 만들기 - 단백질 분리정제 및 기능분석
주제 : 단백질 분리정제 및 기능분석
실험일시 : 2008년 3월 11일 2:00p.m.~ 4:30p.m.
목적 : Column chromatography의 준비로서의 buffer만들기
실험목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