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사업의 필요성
1)1) 양성평등교육 우수사례집. 제3회(2007) / 여성가족부
사회에서 전문 직업을 가진 여성, 집에서 육아 및 가사 일을 하는 남성. 이들이 만약 조선시대에 태어났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아마 부모님 혹은 어른들께 호된 꾸지람을 들으며 그들의 성격과 삶을 바꿔야만 했을 것이다. 사회의 고정관념들은 청소년들에게 부정적인영향을 미쳤다. 남자와 여자가 할 수 있는 일이 구분되어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고, 구별되어 있는 성역할이 더 키워나갈 수 있는 자신들의 무한한 잠재력과 능력을 방해하는 장애물 역할을 한 것이다. 선입견, 고정관념을 하나씩 깨어 나간다면 양성평등은 그리 먼 과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것이야 말로 우리의 손에 달렸다. 우리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쉬워질 수도 있고 어려워 질 수도 있으니 말이다. 학교에서의 양성평등 교육은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 교육과정 개편으로 중학교에서 남학생이 가정 교과를 배우기 시작하면서부터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교 문화권에서 남녀 성역할에 대한 오래된 유교적 고정관념 때문에 올바른 양성평등 구현에 가장 효과적인 가정교과에서도 진정으로 남녀의 성역할 차이가 없는 가정교과 수업은 다소 어려움과 문제점이 있어 왔다.
....
[경영,경제] 양성평등에 관한 고찰 [양성평등]
양성평등이란 남녀가 함께 사회에 참여하고 함께 고통과 혜택을 누리는 지위가 보장되는 상태를 말한다. 양성평등의 상태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론이 있는데 첫 번째는 성별 형평성 견해로..
2025 서울특별시여성가족재단 양성평등사업 자기소개서 지원서 면접 이처럼 저는 이론적 기반, 실무기획력, 정책분석 능력을 두루 갖춘 인재로서,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재단의 양성평등 사업을 보다
특히 양성평등 사업 분야에서는 시민 일상에 성평등 메시지를 녹이는 프로그램 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