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에 대한 접근으로서의 부모교육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부모교육
전문적 관계를 통한 부모교육
일부 학자들은 부모교육의 범위를 가족으로 확대하는 것은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본질을 훼손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를 위해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대상으로 어머니만을 포함시키기보다 아버지를 포함한 부모 모두, 더 나아가 가족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 한 가족관계적 측면에서도 아버지를 부모교육의 대상으로 참여시켜야 하는 당위성은 더욱 커진다고 하겠다.
대학에서 연계 전공으로 부모교육 관련 과목을 심화시켜 부모 및 가족지원 프로그램에서 일하게 될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앞으로 의 부모 교육은 개별화된 맞춤 프로그램을 지향하며, 부모 개인뿐 아니라 가족 전체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고, 보편주의를 바탕으로 부모교육 대상의 확대를 유도하며,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꾀해야 한다.
개별화된 부모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지닌 독특한 요구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우선되어야 한다.
한 부모가족은 부재한 배우자의 역할을 보충하기 위해 어떠한 지지를 필요로 하는지, 재혼 가족은 계부모와 친부모 간의 역할 조정을 어떻게 이루는지, 분거가족은 일상의 의사소통과 의사결정을 어떻게 이루는지, 맞벌이 가족은 대리양육자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등에 관한 구체적인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미래부 모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는 단순히 자녀의 행동 개선과 부모-자녀 관계의 향상만을 추구하기보다는 기능적이며 건강한 가족을 유지하고자 하는 관점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대상으로 어머니만을 포함시키기보다 아버지를 포함한 부모 모두, 더 나아가 가족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아내는 남편이 자녀 양육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여 부모 역할을 분담하기를 원하며, 이를 통해 역할과증을 감소시키고, 자녀에게 서로 다른 성 역할 모델을 학습할 기회를 부여하면서 양성평등적인 부부관계를 보여주고자 한다.
부모 및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대상 가족 에게 이미 발생한 문제를 해결한다는 치료적 접근과 현 상황으로 보아 앞으로 발생할 것이 확실시되는 문제를 예방해준다는 예방적 접근은 모두 결핍 모델(deficitmodel)에 근거한다.
Dunst, Thvette, &Thompson, 1990).증진 모델은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적극적 관점이며, 결핍 모델에 입각한 치료 및 예방적 접근보다 부모와 영유아의 능력을 신뢰하는 긍정적 관점이고, 이들 모두가 보다 건강하게 살 수 있는 지역사회 환경과 가치관을 조성하는 데 목적을 둔다.
우리 사회의 부모가 겪는 문제가 점점 더 복합적이 되면서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개별 가족 단위를 너머서는 지역사회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부모교육은 점차 가족과 지역사회 기관과의 연계, 지역사회 기관 간의 협력, 다른 지역사회와의 교류를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지역사회의 인사를 초청해서 프로그램 자원봉사자로 활용하기도 하고, 프로그램의 운영에도 지역사회단체들의 의견을 반영하려고 노력하며, 다른 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필요한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 작업 등이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지역사회 차원에서 부모와가 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 더 참여적으로 변해야 하고, 부모교육 진행자도 과거의 전문가로서 행하던 역할을 포기하고 배타적 태도를 개방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부모교육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지속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 정책적 차원에서 부모교육에 대한 지원을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가족관계/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양서원/2012
가족 문제와 복지/이영숙, 박경란 외 1명 저/신정/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