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만이 강조된 글쓰기 교육에서 억지로 생각하고 창의적인 글을 써야 하는 학생들은 글쓰기를 고통스럽고 골치 아픈 것으로 생각하게 될 수밖에 없다.”
작문 연구는 해를 거듭하면서 새로운 이론과 방법들을 쏟아내지만, 연구 결과가 학생들의 작문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미지수이다. 작문 연구자들의 노력과 성과를 직접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렵다고 하지만, 연구자로서 그동안 작문 연구의 성과들을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본고는 대표적인 작문이론 중 하나인 ‘사회구성주의 작문이론’을 반성적으로 재검토하고, 이 이론이 작문교육에 어떠한 기여를 할 수 있을지 논의해 보도록 하겠다.
2. 작문 이론에서 사회 구성주의의 위상
현대 작문이론의 흐름
형식주의(formalism) → 인지주의(cognitivism) → 사회구성주의(social constructivism)
사회 구성주의 작문이론은 가장 최신 이론으로 오늘날 작문교육에 가장 영향력이 있거나 관심이 증대되는 이론으로 여겨진다.
그런데 이 작문이론의 동향은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연구의 흐름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 내에서 194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이루어졌던 작문연구에 대한 연구사에 따른 것이다. 나이스트랜드 (Nystrand,1993) - “작문 연구가 어디에서 왔는가(Where did composition studies come from)” 각 시기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는 ‘형식주의, 인지주의, 사회구성주의’은 지식 혹은 의미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에 대한 견해차에 따라 달라진다.
형식주의
(formalism)
인지주의
(cognitivism)
사회구성주의
(social constructivism)
이론의 기반
객관주의
구성주의
구성주의
의미의 위치
텍스트
개인
(필자, 독자)
해석 공동체
텍스트의 개념
의미의 자율적인 단위
필자의 사고를 언어로 바꾸어 놓은 것
언어 공동체의 담
....
언어기능_교육_철학의_비판적_재검토 언어기능 교육 철학의 비판적 재검토
- 새로운 작문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
1. 문제의 제기
인지주의 작문교육 이론이 바탕을 두고 있다고 여겨지는 언어기능 교육의 철학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언어 기..
작문_이론의_변화와_작문교육에서의_수용_FINAL 작문 이론의 변화와 작문교육에서의 수용
I. 머리말
작문 행위의 본질이나 성격에 대한 관점
종래
최근
작문하는 동안 개인내에서 일어나는 인지적 과정에 초점
사회학적, 인류학적, 철학적 관점 등에서 작문행위..
언어기능_교육_철학의_비판적_재검토 언어기능 교육 철학의 비판적 재검토
- 새로운 작문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
1. 문제의 제기
언어기능교육은 5차 교육과정 이후 국어교육의 본질적인 부분으로 자리 잡았고, 그에 대한 철학적 정당화와 교육 내용..
국어교육론_국어_0 쓰기 교육
1. 쓰기는 왜 가르쳐야 할까
1) 쓰기 교육의 필요성
-성공적인 사회인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실제적인 의사소통적 글쓰기 능력을 갖게 해 주기 위해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체계적으로 훈련을 시켜..
국어논술 작문 지도 모형과 전략 작문 지도 모형과 전략
1. 내용요약
1. 새로운 작문 능력의 필요성 (생략)
2. 작문 지도의 새로운 방향
학교 교육상황에서는 작문능력을 하나의 일반화된 능력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잘못된 것..
작문_이론의_변화와_작문교육에서의_수용 학 습 목 표
작문이론의 변화와
작문교육에서의 수용
작문행위의 본질 및 성격에 대한 관점의 변화
종전
최근
작문 이론의 변화
배경: 최근 20여년 동안 작문행위에 관한
다양한 관점이 제기
작문 이론의 변화
..
작문이론 수사학의 전통과 작문이론계몽주의 시대의 수사학20세기 수사학
목 차
계몽주의 시대의 수사학
계몽주의 시대란
17세기의 수사학
18세기의 수사학
19세기의 수사학
20세기 수사학
1. 계몽주의 시대란
유럽 역사에 ..
대학 작문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韓國敎育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1997. Vol. 24. No. 2 pp.473-497
대학 작문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이 은 자*
Ⅰ. 머리말
Ⅱ. 대학 작문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Ⅲ. 맺음말
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