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용 화물운송에 있어서 화물자동차운송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1년 현재 전체의 74.2%로서 우리나라 화물운송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화물자동차운수사업법에서는 허가기준에 따라 화물자동차운송사업을 일반화물․개별화물․용달화물자동차운송사업으로 분류하고 있다.
화물자동차로 국내 화물운송의 대부분을 처리함에도 불구하고 사업규모가 영세하여 전체 화물자동차운송업체의 97.5%가 5대 미만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영세한 화물운송업체가 난립하면서 화물정보에 관한 수집능력을 갖추지 못한 영세화물운송업체나 지입차주들은 화물주선업체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구조가 형성되었다. 즉 대부분의 운송업체는 화주로부터 직접 화물을 확보하기보다는 운송주선업자에게 의존하거나 대형운송업체의 하도급형태로 화물을 확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이유는 첫째, 지입경영에 의해 실질적인 개별사업자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운송업계의 실정에 따라 화주들이 주선업체에 운송용역을 의존하고 둘째, 소규모 운송업체에 대한 신뢰성 부족으로 화주들이 주선업체에 화물운송을 의존하고. 셋째, 화주기업은 화물운송을 아웃소싱하는 추세로 주선업체를 활용하는 사례가 대다수이기 때문이다(홍갑선, 「화물운송제도 개선방안」, 교통개발연구원 토론회 자료집, 2003. 8. 14. 5쪽 참조).
.
화물주선업체의 급속한 증가와 함께 불법적인 다단계주선 등이 나타나게 되었다. 아래의 그림에서처럼 운송회사들은 화물을 확보한 후 소속 차량(직영차량, 위수탁차량)의 처리물량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수수료를 공제하고 타 운송회사 또는 주선업체에 재위탁하고 있다. 2003년 건설교통부 조사에 따르면 평균 3.6개의 다단계알선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또한 대기업 계열사의 주선업체(1996년 3월 현재 78개 업체)가 자사의 운송화물을 영세 주선업체에 재도급하여 다단계주선을 조장하는 경우도 많다.
....
운송 특수 고용 노동자의 근로자성에 대한 연구 운송 특수고용노동자의 근로자성에 대한 연구
1. 노무이용자가 가지는 권한
판례는 종래 사용종속관계의 판단에 있어 일단 근로계약관계가 성립한 이후의 지휘명령관계를 주로 살피고, 해당 근로관계의 성립과 ..
레미콘 운송노동자의 근로자성에 대한 연구 특수고용관계 중 레미콘 운송노동자의 근로자성에 대한 연구
1. 레미콘 운송노동자의 특수고용화
레미콘 운송의 경우 원래 건설회사 정규직 노동자였으나 레미콘 차량의 강제불하를 통해 이른바 ‘지입차주’의 형..
덤프 트럭 운송노동자의 근로자성연구 특수고용관계 중 덤프트럭 운송노동자의 근로자성 연구
1. 덤프트럭 운송노동자의 특수고용화
현재 ‘덤프트럭 대여업자’의 60% 이상이 차주겸 기사인 특수고용형태인 것으로 추정 된다. 1980년대 후반부터 건설..
운송 특수 고용 노동자에 대한 판례연구 운송 특수고용노동자에 대한 판례 연구
지입차주 겸 운전사에 관한 지금까지의 판례들은 대체로 이들의 근로자성을 부인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판례는 다음과 같다.
▶ 대법원 1995. 6. 30. 선고 94도2122 판결 (..
특수고용 노동자의 근로자성 인정 여부에 대한 판례 검토 특수고용 노동자의 근로자성 인정 여부에 대한 판례 검토
1. 특수고용 노동자의 개념
사용자가 근로기준법 등 노동법의 적용을 회피하기 위하여 사실상은 기업의 필수적인 업무에 해당함에도 불구하고 직접 고용..
특수 고용직의 근로자성 특수고용직의 근로자성에 대하여
1. 근로자성의 판단기준
근로자의 정의와 관련하여 법은 직업의 종류를 불문하고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제공하는 자 로 정하거나(근로기준법 제14조), ..
특수 고용관계의 근로자성 판단여부 특수고용관계의 근로자성 판단여부
1. 들어가며
통상 특수고용이라 함은 비전형적인 고용형태 중에서도 도급 또는 위임계약의 형식을 띠고 있는 자영업의 성격이 강한 고용형태를 포괄하는 의미이다. 특수고용에..
특수고용관계에 있는 자의 근로자성 특수고용관계에 있는 자의 근로자성
1. 문제의 소재
최근 고용형태의 다양화 등으로 늘어나고 있는 학습지 교사, 보험설계사 등 특수고용관계에 있는 자의 경우 그 지위와 역할은 근로자와 유사한데 판례에 의해..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개념 근기법상 근로자개념 세부 검토
Ⅰ. 서설
1. 의의 및 취지
근로기준법은 ‘근로자란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서 근로를 제공하는 자를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근로기준..
노조법상의 근로자성과 해고의 효력을 다투는 자의 근로자성 노조법상의 근로자성에 대한 법적 검토(해고의 효력을 다투는 자를 중심으로)
Ⅰ. 들어가며
1. 단결권의 주체로서 근로자
헌법 제33조제1항은 근로자가 단결권의 주체임을 명시하고 있다. 즉 노동조합의 결성․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