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법인의 경우
판례는 법인의 목적사업수행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법인의 명예 신용을 침해한 경우에는 그 침해자에 대하여 불법행위를 원인으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大判 1965. 11.30. 65다1707)
(3) 태아의 경우
판례는 태아 자신이 직접 불법행위의 피해자가 되는 경우에 관한 사항에서 임신중의 어머니가 교통사고에 의하여 불법행위를 당하고 이 충격때문에 그 아이가 미숙아로서 정상기보다 조산이 되었고, 또 이것 때문에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면, 이 불법행위는 한편으로 산모에게 대한 불법행위인 동시에 한편으로는 태아자신에 대한 불법행위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아이는 그 생명침해로 인한 재산상 손해를 청구할 수 있다고 보아야 된다고 본 바 있다.(大判 1968. 3. 5. 67다2869)
2. 손해배상청구권의 성질
(1) 상계금지
고의의 불법행위자는 피해자의 손해배상청구권을 수동채권으로 하여 상계할 수 없다(§496)
(2) 양도 및 상속가능
3.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
(1) 소멸시효(§766 ①) : 3년이 원칙임
(2) 관련판례
[소멸시효의 기산점인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때’의 의미]
민법 제766조 제1항에 따른 불법행위를 원인으로 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는 민법 제166조 제1항에 의거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때로부터 진행되는데, 이 때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때’라 함은 권리행사에 법률상의 장애사유가 없는 경우를 가리키는 것인 바, 공상 등을 입은 군인이 다른 법령에 의한 보상 여부가 판명되지 않고 있다는 사정은 (국가배상법에 따른)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청구권의 행사에 대한 법률상의 장애에 해당한다.(大判 1998. 7. 10. 98다7001)
[제766조 1항의 소멸시효의 기산점]
....
민법상 불법행위책임에 대한 손해배상의 방법에 대하여 불법행위책임에 대한 손해배상의 방법 (민법)
1. 금전배상의 원칙
1) 개요
기본적으로 민법상 불법행위에 대한 책임에 대하여 손해배상을 하는 방법은 금전 배상을 실시함이 원칙이다.
2) 관련 판례
불법행위..
민법상 불법행위에 대한 정신적 손해의 배상연구 민법상 불법행위에 대한 정신적 손해의 배상 연구
1. 관련 법규
제751조 [재산 이외의 손해의 배상] ① 타인의 신체, 자유 또는 명예를 해하거나 기타 정신상 고통을 가한 자는 재산 이외의 손해에 대하여도 배상..
민법상 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의 범위와 금액 민법상 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의 범위와 금액
1. 손해배상의 범위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은 통상손해를 원칙으로 하고, 특별손해는 가해자의 예견가능성을 전제로 하여 배상책임을 지운다(제763조․제393조..
민법상 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의 방법 연구 민법상 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의 방법 연구
1. 민법의 원칙
손해배상의 방법으로는 원상회복주의와 금전배상주의가 있는데, 우리 민법은 원칙적으로 금전배상주의를 취하고 있다(제763조․제394조). 판례도, ‘..
채무불이행책임과 불법행위책임과의 비교 <세부내용>
채무불이행책임과 불법행위책임과의 비교
의료과오에 의한 손해배상청구권의 발생원인으로서는 민법상 불법행위와
생략
1.귀책사유
양책임 모두 과실책임주의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불..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 청구권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청구권
1. 손해배상청구권의 성질
(1) 상계의 금지
고의의 불법행위자는, 피해자의 손해배상청구권을 수동채권으로 하여, 상계하는 것이 금지된다(496조). 이 규정은 쌍방의 채무가 모..
민법상 생명침해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권 민법상 생명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 검토
1. 본인의 청구권
(1) 배상범위
재산적 손해에 정신적 손해가 합쳐진 부분이 배상범위이다.
(2) 상속성
즉사의 경우에도 시간적 간격설을 취하여 상속성을 긍정..
부정경쟁행위에 대한 구제수단 부정경쟁행위에 대한 구제수단
1. 들어가며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은 제2조 제1호에 열거된 부정경쟁행위에 대한 민사적 구제수단으로 금지청구권(제4조), 손해배상청구권(제5조) 및 신용회..
부정경쟁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에 대한 연구 부정경쟁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에 대한 연구
1. 제도의 취지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제5조는 행위자의 고의 또는 과실로 영업상 이익이 침해당했을 경우의 손해배상청구권을 규정하고 있..
공동 불법행위1 민법상 공동불법행위에 대한 검토
1. 공동불법행위의 의의
제760조 [공동불법행위자의 책임] ① 수인이 공동의 불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때에는 련대하여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② 공동 아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