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직자의 범죄불고지에 대해서도 정당행위로써 위법성 조각이 성립된다.
그러나 판례는 성직자의 적극적 은닉행위와 정당행위 성립에 관하여서는 성직자라 하여 초법규적인 존재일 수는 없으며 성직자의 직무상 행위가 사회상규에 반하지 아니한다 하여 그에 적법성이 부여되는 것은 그것이 성직자의 행위이기 때문이 아니라 그 직무로 인한 행위에 정당, 적법성을 인정하기 때문인 바, 사제가 죄지은 자를 능동적으로 고발하지 않는 것에 그치지 아니하고 은신처마련, 도피자금 제공 등 범인을 적극적으로 은닉․도피케 하는 행위는 사제의 정당한 직무에 속하는 것이라고 할 수 없다고 판시한 바 있다.(대판 1983.3.8. 82도3248)
2. 의사의 치료행위
1) 의의
의사의 치료행위란 주관적으로 치료의 목적을 가지고 객관적으로는 의술의 법칙에 따라 행하여지는 신체침해행위를 말한다.
2) 의료법상의 치료행위
....
민법상의사표시의 성립 유형 민법상 의사표시의 성립 유형
1. 들어가며
표의자의 효과의사가 언어나 문자 등에 의하여 분명히 표현된 의사표시를 明示的 意思表示라고 한다. 그밖에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다.
2. 침묵
침묵은 원칙적으로 ..
사회복지전문직의 역할과 정체성에 대하여 서술해주시기 바랍니다. 사회복지전문직의 역할과 정체성에 대하여 서술해주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전문직(professions)이란, 전문성을 가진 직업이나 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성직자, 의사, 변호..
부당노동행위 의사와 부당노동행위 성립 문제 부당노동행위 의사와 성립에 대한 검토
Ⅰ. 서설
1. 부노의 개념
부노라 함은 사용자가 근로자의 근로3권을 침해하는 행위로써 노조법은 부노의 유형으로써 불이익 취급, 비열계약, 단체교섭거부, 지배/개입 및 ..
민법상의사표시의 구성요소와 본질 민법상 의사표시의 구성요소와 본질
1. 들어가며
의사표시가 성립하는 심리적 과정을 분석․관찰하면, 먼저 어떤 동기에 의하여 일정한 법률효과의 발생을 목적으로 하는 의사를 결정하고(效果意思), 다음에 이 ..
민법상 법률행위와 의사표시의 관계 및 법률행위의 요건 민법상 법률행위와 의사표시의 관계 및 법률행위의 요건
Ⅰ. 법률행위와 의사표시의 관계
1. 의사표시의 의의
의사표시는 일정한 법률효과의 발생을 원하는 내적 의사(효과의사)를 표명하는 행위이며, 법률행위..
정당한 쟁의행위의 효력관련 판례 정당한 쟁의행위의 효력관련 판례 연구 (노조법)
1. 정당한 쟁의행위 효력관련 법리
근로자의 단체행동은 시민법상 근로계약상의 채무불이행, 불법행위 또는 형법상 범죄를 구성한다. 그러나 ‘단체행동권의 헌법..
정당한 쟁의행위의 효력 관련 판례연구1 노조법상 정당한 쟁의행위의 효력관련 판례 연구
1. 정당한 쟁의행위 효력관련 법리
근로자의 단체행동은 시민법상 근로계약상의 채무불이행, 불법행위 또는 형법상 범죄를 구성한다. 그러나 ‘단체행동권의 헌법..
감염병이 바꾼 세계사(인류와 바이러스의 끝없는 공방전)[독서감상문] 나이토 히로후미 저자의 [감염병이 바꾼 세계사 (인류와 바이러스의 끝없는 공방전)]이라는 책을 읽고 나서 독서감상문을 작성해 봤습니다. 도서 선택이유, 핵심 주제와 주요 내용, 공유하고 싶은 내용, 느낀점, ..
사용자의 責任 민법상 사용자의 責任 전반에 대한 연구
제756조 [사용자의 배상책임] ① 타인을 사용하여 어느 사무에 종사하게 한 자는 피용자가 그 사무집행에 관하여 제3자에게 가한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그러나 사용..
민법상 법률행위성립을 위한 목적의 가능성 민법상 법률행위 성립을 위한 목적의 가능성
1. 의의
법률행위의 성립 당시에 그 목적의 실현이 불능한 것이었으면 그 법률행위는 무효이다. 여기서 불능은 원시적 불능을 말한다. 물리적으로는 물론, 사회관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