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변동에 있어서 노동법상 문제의 핵심이 근로자의 근로관계 존속보호에 있다면, 그리고 근로관계 존속보호의 문제가 사업(조직)에 대한 지배권 이전에 따라 발생한다면, 문제의 관건은 그에 관한 판단을 사업주 혹은 경영담당자들의 행위적인 측면에서 찾을 것인지, 아니면 결과적인 측면에서 찾을 것인지 이다. 현재 판례의 입장은 행위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다. 즉 양도인과 양수인 사이의 영업의 양도에 관한 합의로 특정 근로자의 승계를 배제하는 특약을 약정할 수 있지만 그러한 약정이 해고제도를 남용하거나 회피하려는 경우에 제한을 가하는 논리구성을 취함으로써 당사자의 법률행위의 측면에서 파악․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판례 입장은 명문의 규정이 없는 현행법체계하에 해석론으로 전개할 수 있는 최대 범주를 가용한 것으로 보아 현실적인 타당성을 부인할 수는 없다. 그러나 본고의 연구대상은 판례가 그와 같이 판단할 수밖에 없는 명문규정의 결여상태에서가 아니라 그러한 문제의 합리적인 해법을 제공하기 위한 입법규정의 도입에 관한 것이므로 판례의 범주에 구속되기 보다는 합목적적인 관점에서의 별도의 구성요건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기업변동시 근로관계 존속문제가 사업조직에 대한 지배권의 이전이라는 점에 문제의 연원이 있다면, 입법정책적으로는 그러한 결과에 초점을 맞추어 설계하는 것이 훨씬 더 타당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목적적인 관점에서 이하에서는 근로관계 존속보호를 위한 중심개념으로서 사업이전과 사업이전을 판단하는 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중심개념으로서 ‘사업이전’
....
사업이 전과 근로자 대표의 지위에 대하여 노동관계법상 사업이전과 근로자 대표의 지위
1. 들어가며
광의의 근로자대표란 현행 노동법상 사업 또는 사업장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을 대표하는 자라 할 수 있는바, 주로 사업 또는 사업장 내에서의 근로자대..
기업변동시 근로관계 이전을 발생시키는 요인 검토 기업변동과 근로관계 이전의 요인
1. 들어가며
기업변동으로 인하여 근로관계 이전을 발생시키는 가장 큰 실체적 요건으로는 사업주가 변경되는 경우 혹은 사업에 대한 지배권을 획득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사업이 전과 노사협정 사업이전시 노사간 협정의 효력에 대한 법적 검토
1. 노사협정의 의미와 법적 판단에 있어서의 문제점
노사협정이란 현행 실벙법률에서 사용되는 용어도 아니며, 학설상으로도 통일된 용어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
사업이 전과 단체협약의 효력 노동관계법상 사업이전에 따른 단체협약의 효력의 법적 연구
1. 단체협약제도가 갖는 특수성
1) 채무적 부분과 규범적 부분의 불가분성
단체협약은 근로조건을 규율하는 규범적 부분도 있지만, 노조활동 및 전..
사업이 전과 취업규칙의 효력에 대하여 노동관계법상 사업이전과 취업규칙의 효력에 대한 검토
1. 취업규칙제도의 의의와 기능
취업규칙 제도는 다른 나라에서와는 달리 우리나라에서 차지하는 기능과 작용력은 대단히 크다. 그 이유가 분명하지는 않..
[기업인수합병의 문제] 인수-합병의 성과와 문제점 [기업인수합병의 문제] 인수-합병의 성과와 문제점
인수합병의 성과와 문제
인수, 합병 기업들의 성과는 어떨까?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긴 했지만 성과에 대해서는 명확히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다. 합병 전과..
기업결합에서의 경쟁제한성의 판단 기준 기업결합에서의 경쟁제한성의 판단 기준
1. 들어가며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기업결합은 당해 기업결합에 의하여 일정한 거래분야(시장)에서 경쟁이 감소하여 특정한 기업 또는 기업집단이 어느 정도 자유..
기업결합에서 경쟁제한성의 판단 기준 기업결합에서 경쟁제한성의 판단 기준
1. 들어가며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기업결합은 당해 기업결합에 의하여 일정한 거래분야(시장)에서 경쟁이 감소하여 특정한 기업 또는 기업집단이 어느 정도 자유로..
사업양도와 근로관계의 승계 사업양도와 근로관계의 승계와 관련한 법적 문제 검토
Ⅰ. 들어가며
1990년 초반부터 ‘세계화’의 흐름과 함께 우리나라에서도 기업변동이 시작되었고 IMF를 기점으로 기업간 영업양도, 분할·매각, 흡수·합병 등의..
사업이전 합병, 영업양도에 따른 노동조합의 법적 지위의 문제
1. 들어가며
사업이전이 발생한 경우 노동조합의 지위가 어떻게 되느냐 하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실제 노동조합의 지위는 사업이전 등과 같은 기업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