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성과평가

1. ■조직성과평가.hwp
2. ■조직성과평가.pdf
■조직성과평가
■ 조직성과 평가

Ⅰ 서

성과주의는 성과에 대한 확인과 성과향상 방안 검토 및 평가를 통하여 조직의 유효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말한다. 성과평가는 현재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미래의 성장 가능성을 마련하는 것이다.
기존 우리나라의 성과평가는 연봉제 등을 통하여 보듯이. 개별 종업원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초점을 두었으며 조직의 성과평가를 하더라도 재무적인 성과(매출, 이익 등)에 대하여만 평가하는 경우였다.
그러나 현대경영에서는 개인적인 성과뿐만 아니라 조직의 성과를 중시하고 있으며 조직의 성과 또한 단순한 재무적 성과뿐만 아니라 조직 전체의 역량을 평가하는 데 강조점을 두고 있다.

Ⅱ 조직성과 평가의 유효성

개인성과 평가를 통하여 조직내에 성과에 따라 대우받는다는 문화와 관행을 확산시킬 수는 있지만 개인성과평가를 통한 임금격차가 조직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는 학자들 간의 이견이 존재한다.
이러한 개인성과 위주의 평가의 문제점은 개인들이 자신의 임금인상을 위하여 노력을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자신의 능력개발과 조직의 능력개발을 통하여 조직 전체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하여는 노력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개인성과와 조직성과평가를 적절하게 배치하여 개인의 성과달성 노력뿐만 아니라 집단전체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즉 개별 종업원의 성과평가는 개인의 임금, 배치전환, 경력개발 등 처우에 있어서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조직성과 창출에는 개별적 성과평가와 더불어 별도의 성과평가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Ⅲ 조직성과 평가의 기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