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윤리교육이 우리나라 의과대학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에 들어와서부터이다.
즉, 가톨릭의과대학이 1980년에 처음으로 의학과 4학년 1학기 교육과정에 ‘의학윤리’ 라는 이름의 교과목을 개설하고1) 연세의과대학이 1986년부터 역시 의학과 4학년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의료윤리’ 과목을 가르치기 시작한 것이 그것이다2).
이 후로 각 의과대학들이 서서히 의료윤리 교육을 단독 또는 통합 형태의 정규과목으로 채택해 왔으며 특히 1996년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실시한 의학계열 대학평가 항목 중에 의료윤리를 포함한 인문사회계열 과목 교육을 강조한 것을 계기로 그 수가 크게 증가해서 1990년에는 31개 의과대학 중 7개 대학이, 다시 1993년에는 32개 대학 중 12개 대학이 의료윤리 과목을 개설했으며, 1996년에 발간된 한국의과대학장 협의회의 「의과대학 교육현황」 제9집에 의하면 당시 37개 의과대학 중 20개 대학이 의료윤리 또는 관련 과목을 개설한 것으로 되어 있다3).
한국의과대학들에서의 이 같은 의료윤리 교과목 개설은 이미 1970년대부터 많은 의과대학들에서 학생들에게 의료윤리교육을 실시해 온 미국4)에 비하면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고 할수 있다.
....
[세미나현황과분석]의과대학 교육현황 분석 의과대학 교육현황 분석
역사적 배경
의과대학 교육개혁의 기원:
Flexner Report, 1910
Johns Hopkins Medical School
한국의 의학교육 개혁
의학과 평가인정: 한국대학교육협의회, 1996
의과대학 학장협의회, 한..
[강추][학업계획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학사편입 학업계획서 의학 지식과 임상기술을 완벽히 갖춘 의사로 성장하여 환자의 삶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의료발전과 사회건강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인생의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학문적 학습과 실..
의과대학교원해외파견규정 의과대학 교원 해외파견 규정
제정 : 20 ...
제1조 (목적) 이 규정은 의과대학에 재직중인 전임교원에 대하여 의과학 연구 및 의료기술 습득을 위한 해외파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
의료현장에서 의료사회복지실천의 필요성과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의료현장에서 의료사회복지실천의 필요성과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의료사회복지는 1905년 매사추세츠병원에서 카보트(Cabort)가 처음 소개한 후 지금은 미국의 거의 모든 병원에 사회사업부서가 설치 ․ 운영되고..
머레이 보웬(Murray Bowen)의 생애와 업적 머레이 보웬(Murray Bowen)의 생애와 업적
머레이 보웬(Murray Bowen)은 미국 테네시(Tennessee)에서 출생하여 많은 형제들과 자매들이 있는 화목한 대가족의 장남으로 성장하였다. 의과대학에 들어가서 정신과 ..
[현황과전망 연구보고서] 경북대학교 폐기물 발생 및 재활용 현황 연구 경북대학교 폐기물 발생 및 재활용 현황 연구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경북대학교 내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의 발생현황과 처리현황의 조사를 통해 대학기관의 폐기물 관리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대학실정에 맞는 폐기..